
여의대방역세권이 최대 용적률 450%를 목표로 '장기전세주택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과거 대상지는 30%가 넘는 주민들의 구역지정 해제 요청으로 한 차례 사업이 무산된 아픔이 있다. 따라서 이번 사업이 첫 발걸음을 떼기 위해선 주민합심을 통한 강한 추진력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19일 정비업계 따르면 최근 영등포구청 주관 하에 여의대방역세권의 사업설명회가 개최돼 주민들의 사업이해를 돕는 시간이 마련됐다. 장기전세주택 도시정비형 재개발은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기반시설이 적은 지역에 용적률 혜택을 주는 대신, 장기전세주택 등의 공동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의 일환이다.
서울시에선 앞서 지분 쪼개기, 신축 빌라 건축 등으로 분양권을 늘리려는 투기세력에 의한 원주민 피해를 막고자 투기방지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상지의 권리산정기준일은 8월 7일로,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토지의 분할과 건축물 신축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분양권 산정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즉 지분 매입과 건축 행위 등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것이다.
여의대방역세권의 구역면적은 14,239㎡로, 350m 1차역세권 범위 내에 100% 포함된다. 용도지역은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에서 준주거지역으로 3단계 종상향하며, 최고 층수는 40층(120m이하)으로 계획이 잡혔다. 전체 토지등소유자는 209명으로 나타났다. 용적률 체계는 ▲기준(허용)용적률(190%) ▲상한용적률(202%) ▲법적상한용적률(485%) 등으로 수립될 예정이다. 정비기반시설은 도로외엔 없다.
예상되는 주택공급물량은 633세대로, 조합원 및 일반물량은 397세대, 임대주택은 33세대로 분류된다. 나머지는 모두 장기전세 공공주택(203세대)으로 공급된다. 장기전세주택은 ▲51㎡(61세대) ▲59㎡(101세대) ▲84㎡(41세대) 등으로 구성된다. 나머지 국민주택규모 임대주택은 모두 51㎡미만으로 계획이 잡혔다. 주차대수는 848대로 예상됐다.
여의대방역세권의 추정비례율은 103.2%로 산출됐다. 평당 공사비는 820만원으로 설정됐다. 조합원분양가의 경우 ▲39㎡(7.2억원) ▲51㎡(9.3억원) ▲59㎡(10.6억원) ▲84㎡(14억원) ▲112㎡(17.7억원) 등으로 책정됐다.
한편 대상지 내엔 지역주택조합 등 타 사업추진체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게 주민들의 일관된 목소리다. 현재 추진준비위원회는 신탁방식을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