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포 경우현(경남1,2차·우성3차·현대1차)이 통합재건축 관련 서울시 의견을 적극 반영해 조치계획서 제출을 마무리했다. 수정·보완된 심의 항목이 통과되는대로, 대상지는 이르면 상반기 내로 정비계획(안) 결정고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결정고시 다음 수순으로는 추진위원장 선출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24일 정비업계 따르면 개포 경우현 통합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임병업 준비위원장)는 최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로부터 받은 조치사항을 반영한 계획(안)을 제출했다. 서울시는 임대주택 소셜믹스를 고려해 소형평형 주택공급계획 조정을 주문했다. 또 분산 배치된 주민공동시설을 가이드라인에 맞춰 공공보행통로 주변으로 배치할 것을 요청했다. 이외에도 통경축 확보, 단지 외곽 담장 미설치 등의 지침이 내려졌다.
이에, 추진준비위원회는 소형평형 전용 59㎡를 기존 4세대에서 201세대로 197세대를 늘리기로 계획했다. 대신 74㎡와 84㎡ 물량이 각각 184세대, 15세대 줄어들게 됐다. 99㎡-134㎡ 평형에도 최소 1세대에서 최대 20세대까지 크고 작은 변동이 생겼다. 다만 임대물량은 변동사안이 없다. 이로써 전체세대수는 2,320세대에서 최종 2,343세대로 23세대가 늘어났다.
공공보행통로 주변으로는 어린이집, 돌봄시설 등이 가까이 배치됐다. 공공보행통로변 건축물 배치와 형태도 조정돼 통경축 확보가 가능해졌다. 공원과 녹지의 보행로 연결, 디자인 특화주동 계획 등은 추후 반영키로 했다.
한편 개포 경우현은 3개 단지로 이뤄져 있는 만큼, 복잡다단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선, 결국 3개 단지의 단합이 전제 조건으로 확립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속통합기획이 시작된 이후 '상가 쪼개기'로 인해 상가 소유주가 3배로 늘어나면서 '권리산정기준일' 관련 이슈도 나오고 있다.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추진주체가 3곳으로 나뉘어 있는 만큼, 내부 교통정리도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