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코오롱글로벌(대표이사 사장 김정일)이 14일 현장점검과 모니터링 등 철저한 현장 안전사고 예방으로 태풍 피해를 막았다고 밝혔다. 코오롱글로벌은 안전보건통합관제센터 내 비상대응 '워룸(War Room)'을 가동해 체계적이고 신속히 대응했다. 지난해 개소한 안전보건통합관제센터는 모든 현장의 폐쇄회로(CCTV)를 연계해 전국 각지에 흩어진 현장 상황을 24시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CCTV와 대시보드를 동시에 관제할 수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태풍 카눈에 앞서 상주 운영요원이 대시보드의 △프로젝트 현황 △고위험작업 △점검현황 △재난정보를 시각화해 실시간으로 현장과 소통했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위험요소 발견 및 비상상황 발생 시 현장에 즉각 알람과 지침을 내려 대응했다. 이 밖에도 김정일 대표이사를 비롯해 임원들이 밤샘 비상근무를 이어갔고, 임원들이 현장을 직접 찾아 현장을 점검했다. 현장점검에서는 △토사 붕괴를 차단하기 위해 배수시설을 확보 △피난 대책을 수립 △타워크레인 전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크레인 고정 와이어 로프의 수와 굵기 추가 △현장 내 가림막 제거 △시설물·자재·적재물 등을 견고히 고정하거나 제거해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켰다
증산재정비촉진지구(증산뉴타운) 소속 증산5구역이 지난 달 관리처분계획(안)을 은평구청에 접수한 가운데, 현재 한국부동산원에서 관리처분계획(안) 사전타당성 검증 절차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검증 내용은 ▲조합원 분양자격 ▲관리처분기준 적합성 ▲사업비·분담금 등이다. 조합은 관리처분계획(안) 인가를 받은 직후 이주 작업을 위한 사전준비(HUG보증·이주비 대출 금융기관 선정)에 착수할 방침이다. 10일 정비업계 따르면 증산5구역은 올해 1월 인가받은 사업시행계획(안)에 따라 관리처분계획(안)을 통과하고, 이주 준비와 함께 설계 변경에 착수한다. 설계 변경을 통해 재정비촉진계획(안)→건축심의→사업시행계획(안)→관리처분계획(안) 인허가 절차를 밟아나갈 예정이다. 현재 재정비촉진계획(안) 변경 작업을 도와줄 협력업체(도시계획업체·교통영향평가업체·환경영향평가업체) 선정에 나선 상황이다. 증산5구역은 지난 2013년 6월 최초 사업시행계획(안) 인가를 받았고, 올해 1월 사업시행계획(안) 변경인가를 받았다. 사업 대상지 면적은 112,804㎡, 연면적은 270,855㎡다. 예상 주택공급 물량은 1,694세대(임대주택 292세대 포함)로 용적률은 262%를 적용받았다. 물론
서울시 모아타운 후보지인 면목동과 중화동, 망우동이 지난 6월 열람공고를 마친 지 2달 만에 모아타운 선 구역지정으로 고시됐다. 선 구역지정을 추진하는 목적은 사업면적과 노후도 등 완화된 사업기준을 적용받아 조합설립인가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다. 앞서 서울시는 모아타운 관리계획(안)을 수립하고 구역지정을 고시하기 전, 조합설립을 완화된 기준으로 하고자 하는 지역은 자치구를 통해 신청토록 안내했다. 10일 정비업계 따르면 ▲면목3·8동 44-6 일원 ▲면목본동 297-28 일원 ▲중화1동 4-30 일원 ▲망우3동 427-5 일원은 모아타운 관리계획(안) 수립요건인 대상지 면적(10만㎡ 이하) 기준과 노후도 50% 이상을 충족함에 따라 선구역 지정고시를 받았다. 정비기반시설인 도로와 공원, 주차장 관련 세부적인 계획은 향후 모아타운 관리계획(안) 변경 시 결정된다. 면목3·8동의 대상지 면적은 76,525㎡로, 노후도는 85%(199개동/234개동)로 집계됐다. 공동주택 용지는 36,770㎡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는 구역은 총 5개다. 정비기반시설로는 ▲도로(24,115㎡) ▲공원(1,015㎡) ▲주차장(713㎡) ▲공공청사(1,085㎡)로 구성돼 있으
장위10구역(장위동 68-37번지 일대)이 사랑제일교회 제척과 장위초등학교 선형 조정에 따른 구역계 조정을 주요 내용으로 재정비촉진계획(안) 변경에 나선다. 구역면적은 94,037㎡에서 2,675㎡가 줄어든 91,362㎡로 바뀐다. 장위10구역은 작년 4월 사랑제일교회를 제척한 내용의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을 성북구청에 제출했고, 이듬해인 올해 5월 주민 공람공고까지 마친 상황이다. 장위10구역의 새롭게 바뀐 토지이용계획(안)에 따르면, ▲도로(9,916㎡→10,343㎡) ▲공원(6,012㎡) ▲학교(480㎡→1,060㎡) ▲공공청사(1,415㎡) ▲공동주택 획지(73,140㎡→71,887㎡) ▲사랑제일교회(2,429㎡→0㎡, 제척) ▲종교시설(645㎡) 등으로 구성된다. 사랑제일교회를 제척함에 따라, 공공청사와 공원(지하주차장 포함), 다른 종교시설 모두 현재 장위2동주민센터가 위치한 돌곶이로 쪽으로 옮겨진다. 지난 2021년 교육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할 당시, 성북교육지원청은 학교부지 정형화 의견을 제시했다. 관련부서와 논의 끝에 기존에 결정돼 있던 공공청사 부지(408㎡)를 학교부지로 제공하고, 학교 북측에 위치한 장위10구역의 경계를 일부 조정하는 대안
방화2구역이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재정비촉진계획(안)을 위한 변경 인허가 작업에 착수했다. 해당 사업대상지는 2021년 신속통합기획 후보지 21곳 중 가장 먼저 서울시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지었으며, 한국토지신탁을 통해 신탁방식 정비사업을 진행키로 결정한 곳이다. 8일 정비업계 따르면 재정비촉진계획(안) 변경을 진행하고 있는 방화2구역의 추정비례율은 104.21%로 집계됐다. 총수입 추정액(6,575억원)에서 총지출 추정액(4,104억원)을 뺀 뒤, 종전자산 추정액(2,370억원)으로 나눈 결과값이다. 비례율은 약식감정평가에 따라 산출된 사항으로, 관리처분계획(안) 인가시 개별 물건에 대한 종전자산평가 및 분양가격 확정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예상 주택공급물량은 728세대로, 자세히 살펴보면 ▲조합원(324세대) ▲일반분양(289세대) ▲재개발 임대주택(93세대) ▲도촉법 상 임대주택(22세대)으로 나뉜다. 사업비(4,104억원)는 ▲공사비(2,745억원) ▲보상비(432억원) ▲관리비(25억원) ▲설계비(80억원) ▲감리비(74억원) ▲부대경비(356억원) 등으로 세부내역이 구성된다. 공사비가 전체 사업비의 약 67%를 차지한다. 비례율 계
한화건설이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일원에 들어서는 '포레나 인천학익'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선다. 28일 청약홈에 따르면 다음 달 7일(월)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8~9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8월16일(수) 발표된다. 총 6개타입 ▲49(41세대)▲59A(88세대)▲59B(35세대)▲59C(43세대)▲74A(38세대)▲74B(5세대)이다. 총 250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110세대, 140세대로 나뉜다. 59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4억700만원에서 최대 4억5,700만원으로 산정됐다. 74타입의 경우 최소 4억9,500만원에서 최대 5억5,000만원까지 가격이 분포돼 있다. 상기 공급금액은 발코니 확장비용 및 추가선택품목 미포함 금액이며, 주택공급계약 체결 시 별도 계약을 통해 선택이 가능하다. 발코니 확장금액은 49타입의 경우 1,830만원 수준이며, 59A~59B타입은 1,930만원, 59C타입은 1,960만원이다. 74A타입과 74타입은 각각 2,180만원과 2,280만원이다. 공급금액은 계약금, 중도금, 잔금의 순서로 납부하면 된다. 현 시점에서 입주예정일은 2026년 4월로, 정확한 입주일자는 추후 통보된
1980년대 개발된 서울 고덕택지개발지구 명일동 일대에서 첫 재건축 단지가 나온다. 서울시는 강동구 명일동 고덕현대아파트 재건축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고덕현대아파트가 있는 명일2동 일대는 5호선 고덕역세권 상업지구, 6개 초·중·고등학교, 경희대병원, 강동아트센터, 강동그린웨이(명일공원) 등 기반 시설과 녹지 공간이 풍부한 강동구의 대표 주거지다. 2018년부터 재건축이 추진됐으나, 인근 한양아파트와의 통합 재건축 여부 등 주민 간 갈등으로 사업 속도가 더디게 진행됐다. 이에 서울시가 '개별 재건축'과 '통합 재건축' 대안 모두를 고려한 계획지침을 제시했고, 결국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이번 신속통합기획으로 해당 구역은 보행공간과 녹지가 어우러진 총 면적 3만7658㎡, 50층 내외, 94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거듭난다. 시가 제시한 3가지 계획원칙은 ▲연접 정비구역과 조화로운 통합적 계획 수립 ▲활력있는 생활가로와 풍부한 녹지공간 조성 ▲역세권 입지 변화에 대응한 공공공간 계획 등이다. 시는 고덕택지 지구차원의 조화로운 개발을 위해 연접한 한양아파트를 포함한 통합적 계획지침을 마련했다. 대지 경계를 중심으로 맞닿아 있
서울 중랑구 상봉동 일대 등 서울시 내 정비사업 4곳이 건축심의를 통과해 총 2248가구 규모의 주택이 공급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전날(25일) 열린 제 14차 건축위원회에서 ▲상봉7 재개발 사업 ▲금천 기아자동차부지 주택 건설사업 ▲봉천1-1구역 재건축 사업 ▲상도동 장승배기역 역세권사업의 건축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이번 건축심의에서 도시 경관을 고려한 아파트 층수, 높이 조정, 단지 중앙에 배치된 주차장 출입구 이동, 어린이집․실내 놀이터 등 주민편의시설 면적 추가 등을 통해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유도했다. 우선 중랑구 상봉동 88번지 일원에 건립되는 '상봉7구역'은 동네 경관을 막고 있었던 43층 5개 동으로 계획된 기존 설계안을 49층 4개 동 타워형 공동주택 841세대(분양 719세대·공공 122세대)로 변경하도록 했고, 이번 심의안에 1층 어린이집, 2층 여성교육문화센터, 3층 키즈 테마파크 등을 반영해 지역 내 교육문화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금천구 시흥동 996-3번지 일원에 위치한 '금천 기아자동차부지'는 지하 2층-지상 25층 규모로 공동주택 299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 중 35세대는 장기전세주택으
건설현장 부실 공사에 따른 우려가 커지면서 서울시가 건설현장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기록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25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서울시·민간건설사 동영상 기록관리 설명회'를 개최하고 시가 건설공사 현장에서 지난 1년간 축적해온 동영상 기록관리 경험과 표준안을 민간 건설사와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앞서 시는 도급 순위 상위 30개 건설사에 동영상 기록관리 동참을 요청했고, 현재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롯데건설, 삼성물산, 현대건설, 코오롱글로벌, 호반건설, SK에코플랜트, GS건설 등 총 24곳이 모두 동참키로 했다. 동영상 촬영 대상은 공사 추정금액이 100억원 이상인 곳으로 74개소다. 시는 24시간 촬영하고 드론 촬영 등을 통해 사각지대가 없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논란이 된 철근이나 콘크리트 타설 등 안전과 품질관리 핵심이 되는 작업에 대해서는 고성능 촬영장비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설명회에서 시는 현재 강동자원 순환센터, 신림~봉천 터널 도로 공사 등 100억원 이상 규모의 공공 건설공사 현장 74곳에서는 모두 전과정 동영상 촬영을 진행하고 이를 관리 및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동훈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
롯데건설이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 일원에 들어서는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선다. 21일 청약홈에 따르면 이달 31일(월)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다음달 1~2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8월9일(수) 발표된다. 총 11개타입 ▲74(88세대)▲84A(195세대)▲84B(44세대)▲84C(18세대)▲84D(16세대)▲101A(84세대)▲101B(26세대)▲101C(24세대)▲124(44세대)▲125P(2세대)▲138(90세대)이다. 총 631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212세대, 419세대로 나뉜다. 84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12억8,000만원에서 최대 14억9,000만원으로 산정됐다. 101타입의 경우 최소 15억4,000만원에서 최대 17억6,000만원까지 가격이 분포돼 있다. 현 시점에서 입주예정일은 2025년 3월로, 정확한 입주일자는 추후 통보된다.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이 들어서는 자양1구역 복합개발지 내에는 대형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원스톱 쇼핑이 가능한 다양한 판매시설과 8개 관 규모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5성급 글로벌 브랜드 호텔, 프리미엄 오피스텔인 '리마크빌'과 업무시설 등이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