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와 사업시행약정서 체결 협의를 마친 성남 태평3구역이 시공자 선정을 위한 준비작업에 한창이다. 태평3구역은 고도제한 완화 방안을 고민하고, 높이계획 변경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사업성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6일 정비업계 따르면 태평3구역(황재화 위원장)은 최근 순환정비방식의 사업시행자로 지정된 LH와 약정서 체결협의를 마쳤다. 약정서의 주요 쟁점사안은 ▲시공사의 공동시행문제 ▲정비기반시설지원 ▲시행수수료 ▲주민대표회의 운영 등이다.
성남시의 경우, 과거에 서울 철거민들이 이주해 형성된 지역 특성상, 다수의 노후된 주택들로 인해 정비사업이 시급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세입자 비율이 높아 대규모 철거 시엔 이주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LH는 태평3구역에 기존 재개발 방식이 아닌 순환정비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순환정비방식은 주민들의 이주 부담을 줄이고, 지역 내 재정착을 유도하는 정비 방식이다. 저소득층 주거 안정과 세입자 보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올해 하반기 시공자 선정을 앞둔 태평3구역은 우선적으로 성남시 고도제한 완화방안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이다. 대상지는 오는 9월 연구 자문용역을 진행하는데, 이론적 근거 마련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관련 법령 개정안 수립으로 실질적인 고도제한 완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기존의 원지반고를 계획지반고로 변경해 최고층수를 15층에서 20층 이상까지 부분적으로 상향시킨다는 계획이다. 공항과 근접해선 건축물이 낮아져야 하나, 원지반이 높은 상황에서 건축물을 그대로 올리게 되면 층수에서 불이익이 발생한다는 의견이다.
다만 현재 원도심 4개주민대표회의는 계획지반고로 건축허가를 요구하고 있지만, 군공항은 원지반고 건축만을 고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평3구역은 오는 3월까지 시공사 입찰 준비를 마치고, 시공사 선정 입찰을 거쳐 3/4분기에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임시총회를 개최한다는 계획이다. 시공사 선정이 끝나면 건축심의와 사업시행인가를 위한 후속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