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북한산 조망을 누릴 수 있는 서울 은평구 불광동 일대 재개발 사업이 9년 만에 본궤도에 올랐다. 최고 25층, 약 314가구 규모 역세권 복합주거단지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불광동 600 일대 재개발 사업 후보지의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지역은 2009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가 상가 주민 갈등, 사업성 악화 등으로 2014년 해제된 바 있다. 이 지역은 지하철 3호선·6호선 불광역으로부터 250m 이내로 가깝지만 좁은 일방통행로와 막다른 도로로 차량 진입이 불가능해 역세권이라는 장점에도 주거환경은 열악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후 재개발이 지지부진하다가 9년이 지나 주택정비형 재개발 후보지 공모를 통해 이번에 신속통합기획 지원을 받게 됐다. 이에 시는 '북한산 자락과 어우러진 역세권 복합주거단지' 조성을 목표로 ▲주변 상권과 함께 성장하는 열린 복합주거단지 계획 ▲가로환경 정비 통한 차량 및 보행 편의 확보 ▲북한산 조망을 함께 나누는 스카이라인으로 개발 방향을 정했다. 우선 기존 불광역 상권(불광먹자골목)이 재개발 이후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저층부에 연도형 상가를 배치하고, 상업활동 지원을 위한 보행로 정비 및 공영주차
서울시가 반지하 가구를 대상으로 매입임대 주택 확대와 반지하 매입절차 간소화 등 지상층 이주 유도 내용이 담긴 대책을 내놨다. 서울시는 12일 풍수해 대책 추진사항 설명회를 열고 반지하 지상층 이주지원과 매입추진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시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중증장애인(370가구), 아동·어르신(695가구), 침수우려 가구(2만7000가구), 나머지 반지하 전체(21만 가구) 등 서울 시내 반지하 23만 가구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시는 해당 가구에 침수방지시설 설치, 주거이전 지원, 반지하 주택 공공매입, 월세 바우처 지급 등을 추진하고 있다. 반지하 거주자 대책으로 지상층 이주 지원에 나섰지만, 5월 말 기준 서울 시내 전체 반지하 가구의 약 1% 수준인 2250가구만 지상층으로 이주했다. 그 중 1280가구가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했고, 반지하 주택 바우처 제도 지원도 970가구에 그쳤다. 또 반지하 매입 사업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반지하 매입 현황도 5월 말 기준 현재 매입 접수된 2584가구 중 98가구만 매입이 완료된 상태다. 올해 목표치인 5250가구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반지하 주택 바우처 지급 제도 역시 외면 받고 있다.
서울 전역의 도시계획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서울도시계획포털'이 새롭게 단장한다. 서울시는 이용자가 더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서울도시계획포털을 새롭게 단장해 오는 13일부터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서울도시계획포털은 25개 자치구를 포함해 서울시의 도시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서울시민 누구나 스마트폰 등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도시기본계획을 비롯한 용도지역·지구·구역 등 도시관리계획, 신속통합기획(정비지원계획) 등 서울시 도시관리계획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관리계획 고시·공고 등에 대한 주민 의견 제출도 가능하다. 이번 개편은 도시계획 정보에 대한 이용자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열람공고와 결정고시 등 시민들이 주로 찾고 이용하는 정보를 주 화면에 노출해 바로 접근 가능하도록 했다. 또 비슷한 특성으로 묶이는 정보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메뉴를 재구성했다. 복잡하고 불필요한 디자인은 개선해 이용자의 가독성도 높였다. 기존에 이해하기 어려웠던 아이콘은 과감히 삭제하고, 대신 글자 크기를 확대해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으로 개선했다. 아울러 디지털 콘텐츠에 익숙하지 않은 시민들의 정보 접근성을 위해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