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줌 구글
메뉴

재개발·재건축 현장을 발로 뛰며, 겸허한 자세로 정보를 기록합니다. 속도와 깊이를 중시하는 언론사입니다.

가리봉동, 주거재생혁신 사업 가능할까…3월까지 동의율 채워야

 

'가리봉 주거재생혁신지구' 시범사업지인 가리봉동134-59번지 일대가 공공(서울시·LH)의 협력과 국비지원(최대 250억원)을 받아 본격적인 주거환경 개선에 나설 수 있을지 관심이다. 주거재생혁신지구는 일반적인 관리처분 방식의 정비사업이 아닌, 주민들이 갖고 있는 소유권을 LH공사에 넘기고 우선입주권을 받는 현물보상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4일 정비업계 따르면 구로구청 주관 하에 지난 달 가리봉동134-59번지 일대는 '구로구 가리봉동 주거재생혁신지구 계획(안)' 발표를 위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해당 사업계획(안)에는 토지등소유자·세입자 지원방안, 추정분담금 등 굵직한 내용들이 담겨 현장을 찾은 다수 주민들의 눈길을 끌었다. 

 

'주거재생혁신지구'는 사업성이 낮아 민간 개발이 어렵고, 노후주거지 개선 효과가 미미한 곳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즉 공공주도 사업의 일환으로, 신속한 사업추진을 통한 도시기능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지난해 8월, 대상지는 인천 동구 화수부두 일원과 함께 주거재생혁신지구로 최종 선정됐다.

 

주거재생혁신지구 특성상, 대상지의 2/3이상 주민동의가 필수적이다. 만약 1년 내 동의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선정지구에서 해제된다. 올해 3월까지 주민동의율을 충족해야 하는 상황이다. 가리봉동134-59번지 일대는 최대 250억원의 국비지원 중 98억원의 지원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국비 39억원과 시·구비 59억원을 합친 금액이다.

 

또한 현물보상을 통해 토지 및 주택상가 소유주들에게 우선입주권이 부여된다. 공공사업이긴 하나, 시공사 선정은 주민의사에 따라 결정되기에 민간 건설 브랜드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사업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점도 큰 매력 포인트로 작용한다.

 

가리봉동134-59번지 일대의 구역면적은 12,501㎡로, 용도지역은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이하)에서 준주거지역으로 종상향을 추진한다. 최대 용적률은 399.2%로 나타나며, 최고층수는 30층을 목표로 한다.

 

예상되는 주택공급물량은 546세대로, 조합원물량은 372세대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46㎡(168세대) ▲59㎡(110세대) ▲74㎡(27세대) ▲84㎡(67세대)로 나뉜다. 임대는 총 174세대로, 40㎡ 동일평형으로 계획이 잡혔다. 주택계획(안)을 살펴보면 기존 공람(안) 대비 약 26세대의 분양 주택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임대는 183세대에서 174세대로 줄어든 반면, 분양 주택은 기존 346세대에서 372세대로 늘었다.

 

대상지의 종전자산 추정총액은 약 968억원으로 나타났다. 토지와 건물의 평당단가는 2,600만원과 2,000만원으로 추정됐다. 즉 토지10평과 건물20평의 경우, 값으로 환산하면 약 3억원으로 추산된다. 조합원분양가는 ▲46㎡(5.1억원) ▲59㎡(6.5억원)▲74㎡(7.5억원) ▲84㎡(8.5억원)로 예상됐다. 조합원분양가는 일반분양가의 78% 수준이다. 일반분양가는 ▲46㎡(6.5억원) ▲59㎡(8.3억원)▲74㎡(9.6억원) ▲84㎡(11억원)로 나타났다.


[하우징워치 뉴스 앱] - 한번의 터치로 정비사업 뉴스를

  • ① 아이폰(애플스토어)과 안드로이드폰(구글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한다.
  • ② 검색창에 하우징워치를 입력한다.
  • ③ 다운로드 후 이용한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한번의 터치로 하우징워치 뉴스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