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줌 구글
메뉴

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고속버스터미널, 60층 규모 '복합개발'…서울시·신세계 사전협상

 

서울 서초구 고속버스터미널이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돼 업무·주거·판매·문화가 결합한 고층 복합시설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를 사전협상대상지로 선정하고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대규모 입체복합개발에 대한 사전협상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사전협상제는 민간사업자가 5000㎡ 이상 부지를 개발할 때 민간과 공공이 사전에 협의하는 제도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국가 대표 교통거점으로 시작됐다. 이후 2000년대에는 센트럴시티 복합개발을 통해 업무·숙박·상업·문화 기능을 더하며 강남의 일상과 소비, 문화를 이끌어왔다.

 

하지만 약 50년 넘게 노후한 건축물과 부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차공간은 보행단절 및 도시슬럼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 지역주민들은 고속버스 진출입으로 인한 만성적 교통체증과 대기오염·소음 같은 교통공해 피해를 지속적으로 호소해 왔다. 물론 고속터미널역 3·7·9호선의 불편한 동선체계 등의 구조적 한계도 지적사안 중 하나다.

 

 

금번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개발계획에 따르면, 고터는 노후화된 경부·영동·호남선 고속버스터미널을 지하로 통합하고 지상부엔 업무·판매·숙박·문화·주거가 결합된 입체복합개발을 통해 글로벌 미래융합교류거점으로 탈바꿈한다.

 

민간사업자는 공공기여를 활용해 고속버스 지하직결차로를 신설, 지상부 고속버스 교통량을 줄이고 주변 연결도로를 입체화·지하화해 교통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한강 연계 입체보행교 등 보행 인프라를 구축해 한강 접근성도 크게 높인다.

 

서울시는 공공성 확보를 위해 광역 차원의 ▲교통개선대책 ▲지역 필요시설 ▲지역균형발전 방안 등을 세부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제출된 개발계획은 사전협상을 거쳐 공공·민간·전문가가 함께 구체화하게 되며, 협상안이 마련되면 민간사업자가 도시관리계획 입안 및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단순한 재건축을 넘어 한정된 도심 공간을 효율적으로 입체화하는 서울의 도시 공간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주변의 국제교류복합지구, 강남 도심, 여의도,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연결하는 글로벌 핵심 거점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우징워치 뉴스 앱] - 한번의 터치로 정비사업 뉴스를

  • ① 아이폰(애플스토어)과 안드로이드폰(구글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한다.
  • ② 검색창에 하우징워치를 입력한다.
  • ③ 다운로드 후 이용한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한번의 터치로 하우징워치 뉴스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