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 현장을 발로 뛰며, 겸허한 자세로 정보를 기록합니다. 속도와 깊이를 중시하는 언론사입니다.
서울 여의도에서 가장 오래된 대표 노후 아파트였던 시범아파트가 2,466세대 대규모 주택단지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4일 제6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를 개최하고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5일 밝혔다. 시범아파트는 1971년에 준공된 27개동, 1584가구 규모의 노후 아파트로, 지난해 9월에 신속통합기획이 완료됐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시범아파트를 보고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폐허화 됐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번 결정으로 용적률 399.99% 이하, 연도형 상가(도로를 따라 배치된 상가)와 지역 주민에게 개방되는 커뮤니티센터가 포함된 총 2,466가구의 대규모 주택단지로 재건축된다. 한강과 가까운 위치적 이점을 살려 문화시설을 갖춘 수변 문화공원이 조성되고, 원효대교 진입 램프와 차도로 인해 단절된 한강공원을 잇는 입체보행교가 신설돼 녹지·보행 친화적인 주택단지로 조성된다. 아울러 수변 구릉지의 지형적 경관 특성을 보호하고 주변 상업·업무시설과의 조화로운 스카이라인이 조성될 수 있도록 고층 타워 및 중·저층형 주거지 등 다양한 주동이 계획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
서울 성동구 왕십리 역세권에 판매·숙박·주거 기능을 갖춘 55층 높이의 복합 시설이 들어선다. 왕십리역 9번출구 인근에 55층 규모 빌딩 2채, 44층 규모 빌딩 1채가 조성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4일 제15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성동구 행당동 248번지 일대 '왕십리역세권4 특별계획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5일 밝혔다. 대상지인 왕십리역은 환승역세권으로 대중교통의 요지지만 노후 건축물이 많아 환경 개선이 시급한 곳이었다. 이번 결정으로 복합개발을 통해 용적률 800% 이하, 지하 7층∼지상 55층, 연면적 13만㎡ 규모의 판매시설, 관광숙박시설, 공동주택(631세대) 등이 조성된다. 빌딩 지하1층에는 지하철 연결 통로가 설치된다. 수영장, 평생학습관, 공공임대상가, 공공주택 등 지역 내 필요 시설도 만들어진다. 아울러 왕십리 교차로와 남측의 소월아트홀 등 문화시설로의 보행 활성화를 위해 단지 내 공공보행통로를 계획해 보행편의 및 개방감을 확보할 예정이다. 조남준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왕십리역세권4 특별계획구역의 정비계획 결정으로 주거·상업·문화·교육 시설 등이 어우러진 입체복합도시 구축이 가능
서울시가 아파트 관리 투명성 강화를 위해 '공동주택관리규약' 준칙 개정에 나선다. 시는 '제17차 서울시 공동주택관리규약 준칙'을 개정·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우선 시는 공동주택관리법 개정에 따라 입주자대표회의의 감사가 매달 통장잔고를 의무적으로 검사하도록 했다. 300세대 미만 의무관리대상도 회계감사가 의무화됐다. 이어 입주자대표회의 구성 및 해임요건과 관련해 동별대표자의 자격 결격사유를 명확히 했다. 공동주택관리법령 위반으로 과태료 처분 이상을 받은 자의 경우 동별대표자나 선거관리위원에서 해임 내지 해촉하도록 했다. 선거홍보물에 학력이나 경력을 기재하는 경우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또 주택관리업자(관리사무소) 선정 과정도 강화했다. 경쟁입찰 시 입주자대표회의 과반수 이상 찬성과 입주자 등의 과반수 동의를 거쳐야하며 수의계약은 입주자대표회의 과반수 이상 찬성과 계약만료 60일 전까지 입주자 등의 과반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입주자들의 관리비 부담을 줄이고자 관리비 부과시 평형별 최대·최소·평균 관리비를 고지하도록 하고, 최대 15%였던 연체 요율도 5~12%까지 구간별로 세분화했다. 아울러 아파트 관리 노동자의 고용 안정과 휴게시설 설치 및 운영 의무
중랑구 내 신속통합기획 1차 후보지인 면목7구역(면목본동 69-14)이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공람공고에 착수했다. 중랑구청이 올해 5월 면목7구역 정비계획(안) 수립 과정에서 산출한 추정비례율은 약 103%다. 추정비례율(약 103%)은 평당 공사비 680만원, 평당 일반분양가 약 2,800만원(중형 평형대)을 전제로 도출됐다. 5일 정비업계 따르면 중랑구청 도시환경국 주택개발추진단은 면목7구역(김무겸 추진준비위원장)의 정비계획(안) 수립 전 토지등소유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이달 16일(월)까지 공람공고를 진행한다. 현재 건립 예상 세대 수는 1,447세대로, 기존(666세대)과 비교할 때 781세대 늘어난다. 면목본동 파출소는 합리적인 토지이용 차원에서 이전 및 확장될 예정이다. 공공보행통로(폭 8m)는 상봉로에서 면목로72길까지 연결하게 된다. 면목7구역 면적은 58,400㎡, 공동주택 획지 및 정비기반시설 용지는 각각 50,710㎡, 7,690㎡로 이뤄진다. 정비기반시설을 살펴보면, ▲도로(1,960㎡) ▲근린공원(2,600㎡) ▲어린이공원(1,800㎡) ▲공공청사-파출소(330㎡) ▲사회복지시설(1,000㎡) 등이다. 용도지역은 일부 종상향을 통해 ▲제
현대건설과 ‘한남3재개발조합’은 최근 서울 종로구 계동에 위치한 본사 사옥에서 MVRDV와 ‘한남3재정비촉진구역 설계 디자인’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MVRDV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현대건설은 한강 수변 공간을 문화예술·여가 중심 공간으로 재편하는 등 지속가능한 도시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한남3재개발촉진구역은 한남·보광동 일대 38만6400㎡에 아파트 5816가구(임대 876가구 포함)를 짓는 대규모 재개발 사업으로, 현대건설은 한남3구역을 특성에 맞게 ▷주거 지역존(1~6BL, 공동주택 설계) ▷준주거 지역존(7BL, 공동주택·오피스·판매시설 설계) ▷기반시설존 등으로 나눠, 디자인 강점이 있는 해외 설계사를 투입할 계획이다. MVRDV는 '기반시설존'에 해당하는 한남동에서 한강을 연결하는 브릿지데크, 전망대/공원, 나들목, 한강변 주거동 등의 설계를 맡았다. 이번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이태원-남산-한강으로 이어지는 지역의 경관이 창의적으로 변모돼, 도시 이미지 개선과 가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MVRDV의 위니 마스 대표는 “서울에서 한강과 남산이라는 핵심 자연환경을 품고 있는 ‘한남3재정비촉진구역’의 정비기반시설 디자인 작업에 참
신속통합기획 1차 후보지인 청량리동19번지가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을 위한 법적 절차에 착수했다. 올해 3월 서울시가 발표한 신속통합기획(안)에 따르면 약 930세대가 주택공급 물량으로 예상됐지만, 정비계획(안) 상으로는 843세대 정도로 감소했다. 4일 정비업계 따르면 동대문구청 주거정비과는 청량리동19번지(김성경 추진준비위원장)의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정비계획(안) 결정과 관련, 주민 및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이달 10일(화)까지 공람공고를 진행한다. 정비계획(안) 상 예상 세대 수는 843세대로, 토지등소유자(약 316명)와 임대주택예상 건립 세대 수(188세대)를 빼면 일반분양분은 약 340세대 정도가 나올 전망이다. 사업대상지 면적은 28,647㎡며, 공동주택 획지 및 정비기반시설 용지는 각각 25,524㎡, 3,123㎡로 구성된다. 정비기반시설은 다시 ▲도로(2,538㎡) ▲사회복지시설-어린이집(311㎡) ▲사회복지시설-노인복지관(273㎡) 등으로 계획이 수립됐다. 용도지역은 기존 제2종(7층이하)·제2종일반주거지역에서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 된다. 총 주택공급 물량은 843세대로, ▲조합원·일반분양(655세대) ▲
최근 5년간 공동주택(아파트)의 세부 하자 판정 건수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GS건설인 것으로 드러났다. GS건설에 이어 계룡건설산업, 대방건설, 에스엠상선, 대명종합건설이 최다 하자 건설사로 이름을 올렸다. 26일 국토교통부(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4년 8개월간 하자심사분쟁조정위에 접수된 사건 중 '하자'로 판정받은 세부 하자 수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GS건설이다. 총 3062건이 접수됐고, 1612건(52.6%)이 하자로 판정됐다. GS건설은 지하주차장이 무너진 인천 검단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안단테 아파트의 시공사다. 하자심사분쟁조정위는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연평균 4000여건의 하자와 분쟁 사건을 처리했다. 이 중 90%가 하자 여부를 가리는 하자 심사 사건이었다. GS건설 다음으로는 ▲2위 계룡건설 533건(하자 판정 비율 55.8%) ▲3위 대방건설 503건(52.0%) ▲4위 에스엠상선 402건(55.4%) ▲5위 대명종합건설 361건(25.2%) 등이 뒤를 이었다. 6∼10위에는 DL이앤씨(323건·53.5%), 대우건설(308건·24.2%), 동연종합건설(251건·56.0%), 두산건설(213건·15.8%), 롯데건설(202건·25.3
신당8구역이 관리처분계획(안)을 수립한 가운데, 하반기 중구청으로부터 관리처분계획(안) 인가를 받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이달 열린 정기총회에서 이정수 조합장을 비롯해 집행부 임원들은 모두 3년의 임기를 추가로 부여받았다. 시공사 교체 과정에서 지연된 사업기간을 앞당기고, 향후 조합원 이주-철거를 진행할 때 설계변경에도 조합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정비업계 따르면 신당8구역은 이달 관리처분계획(안) 수립을 위한 총회 의결을 완료했다. 재개발 시행 전 건축물은 총 425개동(무허가 67개 포함)이며, 시행 후에는 16개동으로 이뤄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다. 관리처분계획(안) 상 주택공급 계획은 총 1,213세대로, 이중 조합원·일반분양분은 1,030세대다. 상세히 살펴보면 ▲조합원 분양(636세대) ▲보류지(5세대) ▲일반분양(389세대) ▲임대주택(183세대) 등으로 나뉜다. 추정비례율은 101%로 추산됐다. 총수입 추정액(9,725억원)에서 총지출 추정액(6,559억원)을 뺀 뒤, 종전자산 추정액(3,134억원)으로 나눈 결과값이다. 총지출 추정액은 정비사업 진행을 위해 필요한 사업비로, 공사비(3,795억원)와 기타 사업비(2,76
중구 중림동398번지 일대가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며 본격적인 재개발 사업 시작을 알렸다. 25일 정비업계 따르면 중림동398번지 일대는 서울시로부터 정비구역 지정 고시를 받았다. 추정비례율은 109.83%로 산출됐다. 총수입 추정액(6,698억원)에서 총비용 추정액(4,123억원)을 뺀 뒤, 종전자산 추정액(2,344억원)으로 나눈 결과값이다. 총수입 추정액은 ▲조합원 분양수입(3,982억원) ▲일반분양수입(1,588억원) ▲임대주택수입(429억원) ▲판매시설(684억원) 등으로 구성된다. 공사비는 평당 775만원, 일반분양가는 평당 3,829만원을 기준으로 잡았다. 총 주택공급물량은 791세대로, 분양과 임대가 각각 600세대, 191세대다. 전용면적별로 살펴보면, ▲39㎡(임대 39세대) ▲49㎡(분양 44세대) ▲59㎡(분양 305세대+임대 122세대) ▲84㎡(분양 251세대+ 임대 30세대) 등으로 구성돼 있다. 물론 예상 건립 세대 수는 사업시행계획(안) 수립 과정에서 조합원들의 평형 수요를 조사한 뒤 언제든 조정 가능하다. 임대주택은 법적상한 증가분(123세대)을 제외한 전체 세대 수(668세대)의 15%만큼 의무적으로 지어야 한다. 이 부분에 해
거여·마천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 내 존치관리구역이었던 마천5구역이 올해 4월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짓고, 현재 정비계획(안) 입안을 위한 주민동의서를 걷고 있다. 마천5구역은 2021년 신속통합기획 1차 후보지 21곳 중 한 곳이다. 22일 정비업계 따르면 송파구청은 마천5구역 토지등소유자들을 상대로 분담금 추산액이 기재된 안내문을 개별 통지했다. 재개발 사업 시작 단계에 놓여있는 마천5구역의 추정비례율은 약 99%로 산출됐다. 현 시점에서 추정한 전용면적별 조합원 분양가는 ▲39㎡(5.4억원) ▲59㎡(8.17억원) ▲84㎡(10.2억원) ▲114㎡(12.6억원)으로 계산됐다. 원자재값·인건비 상승에 따라 국민평형(84㎡)의 조합원 분양가도 10억을 넘어섰다. 신속통합기획(안)에 따르면, 예상 건립 세대 수는 약 2,200세대(임대주택 600세대 포함)다. 현 시점에서 ▲39㎡(190세대) ▲59㎡(460세대) ▲74㎡(690세대) ▲84㎡(750세대) ▲114㎡(210세대)로 계획돼 있으며, 향후 주민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해 최종 결정된다.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안) 작성 과정에서 ▲원활한 교통처리 ▲효율적인 토지이용계획 ▲기존 노후청사 재정비 ▲수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