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 현장을 발로 뛰며, 겸허한 자세로 정보를 기록합니다. 속도와 깊이를 중시하는 언론사입니다.
공덕7구역이 정비계획(안) 수립을 위한 본격 입안절차에 착수했다. 12일 정비업계 따르면 마포구청 주택상생과는 공덕7구역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 지정을 위한 공람공고를 이달 25일(월)까지 진행한다. 해당 공람공고 상 용적률과 공급물량, 건축계획 등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며 변경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토지등소유자 및 이해관계자들은 의견이 있을 경우, 공람기간 내 서면 의견서를 제출해야 한다. 사업 대상지 면적은 29,972㎡로, 정비기반시설과 공동주택 획지는 각각 3,358㎡, 26,613㎡다. 정비기반시설은 ▲도로(1,027㎡) ▲공공청사1(1,531㎡) ▲공공청사2(800㎡)로 구성된다. 용도지역은 기존 제2종일반주거지역(29,155㎡)과 일반상업지역(816㎡)을 유지한다. 철거 전 건축물 수는 237개다. 용적률은 229.93%가 적용되며, 최고층수는 25층 이하(높이 80m 이하)로 올라간다. 예상되는 주택공급물량은 총 688세대로, ▲조합원·일반분양(577세대) ▲재개발임대(87세대) ▲소형임대(24세대)로 나뉜다. 평형대별로는 ▲39㎡(100세대) ▲46㎡(76세대) ▲59㎡(199세대) ▲74㎡(132세대) ▲84㎡(18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가 재건축 정비계획(안) 변경을 진행하는 가운데, 사업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추정 비례율은 약 72.11%로 산출했다. 현재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한국자산신탁이 사업시행자로 이끌고 있다. 시공권은 작년에 대우건설이 확보했다. 11일 정비업계 따르면 신길우성2차-우창아파트의 추정 비례율은 72.11%로 산출됐다. 총수입 추정액(1조636억원)에서 총지출 추정액(3,769억원)을 뺀 뒤, 종전자산총액 추정액(9,523억원)으로 나눈 결과값이다. 개별 종전자산은 한국부동산원별 평형별 시세(2022년 10월 기준)를 참조해 동일 주택형별로 동일한 가격을 적용해 추정했다. 개별 종전자산은 ▲우성(22평, 120세대, 9억3,000만원) ▲우성(28평, 275세대, 9억8,000만원) ▲우성(32평, 330세대, 11억3,000만원) ▲우창(23평, 72세대, 8억7,000만원) ▲우창(26평, 22세대, 9억3,000만원) ▲우창(28평, 120세대, 9억6,000만원)으로 추정됐다. 물론 앞선 금액은 추정분담금 산정을 위한 추정치로, 정확한 감정평가는 향후 사업시행계획(안) 인가 고시일을 기준으로 이뤄진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금호21구역이 정비구역 지정을 통해 본격적인 재개발 사업 시작을 알렸다. 11일 정비업계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금호21구역 정비계획(안)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결정 고시를 내렸다. 정비계획(안) 상 추정비례율은 106.82%로 산출됐다. 총수입 추정액(1조856억원)에서 총지출 추정액(5,748억원)을 뺀 뒤, 종전자산총액 추정액(4,782억원)을 나눈 결과값이다. 비례율 108.62%는 평당 공사비 707만원과 평당 일반분양가 약 4,000만원을 가정해 계산됐다. 개별 종전자산 추정의 경우, 공동주택 소유주들은 2022년 공시가격에 보정률 1.5배를 곱해 산정됐다. 단독주택과 상가소유자는 토지와 건물을 각각 계산해 합산했고, 이때 토지는 2022년 공시지가에 보정률 2배를 곱했고 건물은 원가법으로 계산했다. 조합원 분양가는 ▲전용 39㎡(5.28억원) ▲전용 49㎡(6.6억원) ▲전용 59㎡(7.93억원) ▲전용 84㎡(10.49억원) ▲전용 109㎡(13.04억원)으로 산정됐다. 전용 39㎡·49㎡·59㎡의 평당 일반분양가는 약 4,070만원, 전용 84㎡의 평당 일반분양가는 약 3,800만원으로 산정했다. 전용 109㎡의 경우엔 약 3,648만
한남5구역이 올해 4월 건축심의 계획서를 서울시에 접수한 가운데, 36블록의 층수 완화(7층→12층)를 반영한 설계도서 작성에 시간을 쏟고 있다. 한남5구역의 공동주택 용지는 총 5개 ▲36블록 ▲37블록 ▲39블록 ▲41블록 ▲42블록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현재 재정비촉진계획(안) 상 최고층수 7층으로 되어 있는 36블록의 층수 완화(12층)를 위해 관련 도서를 다시 작성하고 있는 중이다. 사업시행계획(안) 인가를 위한 설계도서와 서울시 심의 일정 등을 감안할 때, 올해 안으로만 건축심의를 통과시키겠다는 게 한남5구역 조합의 현실적인 목표다. 36블록 공동주택 배치가 달라짐에 따라, 37블록·39블록·41블록도 공동주택 재배치가 이뤄지게 된다. 반포대교에 인접해 있는 42블록만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물론 36블록의 최고층수를 높이기 위해 용적률을 높이게 되면, 다른 블록에서 앞서 상향된 용적률만큼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한남5구역 전체 용적률과 공급 예상 세대 수는 기존과 동일하다. 36블록은 기존 계획상 인동거리가 촘촘하게 배치돼 있어 다소 주거 쾌적성이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이지만, 조합은 주동 수를 줄이고 인동거리를 넓힐 계획이다. 이외 블록에서도 배
신탁방식 정비사업이 주요 재개발‧재건축 현장의 러브콜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한국토지신탁이 추진 중인 다수 사업장이 이주 등 정비사업 막바지 단계를 통과하며 순항 중이다. 한국토지신탁이 사업시행자로 참여한 서울 광진구 가로주택사업이 2023년 9월 현재 이주 진행률 100%를 달성했다. 한국토지신탁 사업대행 대전 문화2구역 재개발 역시 이주를 무난히 완료했다. 서울시 첫 신탁방식 재개발 성공사례인 ‘흑석11구역 재개발(1,509세대)’은 같은 기간 이주율 98%를 넘기면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천 학익 SK VIEW 재개발(1,581세대)’은 공정이 60% 이상 진행돼 내년 하반기 입주를 앞두고 있고, ‘신길10구역 재건축(812세대)’은 관리처분인가 이후 이주개시 3개월 만에 70%가 이주를 완료하며 속도감 있게 사업 추진 중이다. 한국토지신탁은 신탁사의 정비사업 진출이 가능해진 지난 2016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 이후, 시장에 발빠르게 뛰어들며 업계를 선도해왔다. 포트폴리오 다양화 및 지속 성장을 위해 시장 초기부터 진입해 사업 추진 노하우를 쌓은 덕에, 주요 현장들에서 서서히 사업 성과를 보고 있는 셈이다. 도시정비사업은 구역지정부
서울시는 국내외 건축가들이 여의도공원 및 한강일대를 직접 답사하며 구상한 '제2세종문화회관'의 디자인공모 대시민 포럼이 8일 서울시청 본관 8층 다목적홀에서 열린다고 5일 밝혔다. 시는 제2세종문화회관을 여의도공원·한강과 어우러져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한다. 이에 '제2세종문화회관 기획 디자인 공모'를 진행했으며, 심사를 거쳐 5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선정된 작품을 8일 대시민 포럼에서 공개한다. 공개되는 선정작품은 ▲정영균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Jean-Pierre Dürig 'Durig AG' ▲오호근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 ▲Patrik Schumacher 'Zaha Hadid Architects' ▲박형일 '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총 5작품이다. 서울시는 다양한 전문가 자문과 시민 의견 수렴을 통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타당성조사(LIMAC), 중앙투자심사 등 행정절차를 거친 후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선정된 5명(팀)을 대상으로 2025년 상반기 중 지명 설계공모를 실시해 설계용역을 수행할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이 9월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산101번지 일원에 봉천 제4-1-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힐스테이트 관악센트씨엘’을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28층, 9개 동, 총 997세대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58~59㎡ 101세대가 일반 분양으로 공급된다. 일반 분양 물량을 전용면적별로 살펴보면 △58㎡A 2세대 △58㎡B 17세대 △59㎡A 1세대 △59㎡B 43세대 △59㎡C 38세대 등으로 구성된다. ◆ 강남권 출퇴근 편리한 쾌속 교통망, 서부선 경전철(예정) 개통 시 역세권 단지 예정 힐스테이트 관악센트씨엘은 반경 1.2km 내에 지하철 2호선 봉천역과 7호선 숭실대입구역이 위치해 있다. 이 노선을 이용하면 강남역, 논현역까지 환승 없이 20분 내에 이동이 가능하며, 이 밖에 서울 전역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서부선 경전철 개통에 따른 수혜도 기대된다. 서울시청에 따르면 서부선 경전철은 새절역(6호선)~여의도~서울대입구역(2호선) 총연장 15.8km를 잇는 노선으로 정거장 16개소 개통이 예정돼 있다. 지난 8월 23일 ‘서부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안)’ 행정예고가 완료됨에 따라 올해 안에 실시계약이 체결될 계획이다. 공사기간
노량진1구역이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문을 내며 치열한 경쟁을 예고했다. 삼성물산과 GS건설은 올해 사업시행계획(안) 인가 당시 축하 현수막을 내걸며 적극적인 수주의욕을 내비친 만큼, 올해 하반기 노량진1구역 조합원(1,019명)들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해 본격적인 물밑 홍보를 진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물론 노량진1구역 조합은 홍보 공영제를 통해 시공사들의 사전 홍보를 금지하고 있다. 4일 정비업계 따르면 노량진1구역 재개발 조합은 이날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문을 냈다. 현장설명회는 이달 15일(금) 오후 2시 조합사무실에서 열린다. 이때 조합 측에서 배부하는 '시공사 선정계획서'에 따라 입찰 준비를 진행하면 된다. 입찰 마감일은 오는 11월 20일(월)이다. 입찰에 참여하는 건설사는 현금(200억원)과 이행보증보험증권(300억원)을 입찰 마감일 이틀 전까지 납부해야 한다. 예정 공사비는 1조926억원으로, 평당 공사비는 730만원이다. 노량진1구역 시공권 확보에 나서는 건설사는 철거비와 제반 경비를 포함해 예정가격 이하로 입찰해야 한다. 사업발주 방식은 도급제며, 금품·향응·재산상 이익을 제공해 처벌을 받은 건설사는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 앞서 지
신당10구역이 조합직접설립제도를 이끌어 갈 정비업체(빛세움)에 이어 주민협의체 부위원장 선출에 나선다. 중구청은 작년 12월 조합직접설립제도 홍보 부스를 직접 마련할 정도로, 신당10구역 재개발 사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구청 공무원들이 주민들을 가가호호 방문할 정도로 의지를 나타낸 가운데, 1년여 만에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직접설립제도 활용을 위한 사업 토대까지 마련한 상황이다. 3일 정비업계 따르면 중구청 도심정비과 주택재개발팀은 이달 16일(토) 신당누리센터 대강당에서 주민협의체 부위원장 선거를 진행한다. 주민협의체 부위원장은 주민대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현재 ▲주민대표 선거 안내문 ▲공고문(후보자 확정공고) ▲주민대표 후보자 이력서 ▲선거투표용지(중구청) 등이 선거 공보물로 발송된 상황이다. 현장 투표소 참석이 힘들면, 우편투표 또는 방문투표가 가능하다. 주민협의체 부위원장 후보에는 이창우 추진준비위원장이 단독 출마했다. 신화건설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이창우 후보는 재개발 사전타당성 통과와 신속통합기획 선정, 정비구역 확정 등의 절차에서 주민 대표로 활동해 왔다. 신당동에서 초·중·고를 나온 원주민으로 구청과 주민들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수행해
강북구 수유동 170-1번지 일대가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지은 지 4개월 만에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을 위한 본격적인 입안 절차에 착수했다. 강북구청은 이달 13일까지 공람공고를 진행하며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재개발 사업을 완료하게 될 경우, 기존 142세대에서 약 1.63배 늘어난 232세대가 될 전망이다. 1일 정비업계 따르면 수유동 170-1번지 일대의 정비계획상 추정비례율은 약 76%로 산출됐다. 총수입 추정액(1,576억원)에서 총지출 추정액(999억원)을 뺀 뒤, 종전자산평가 추정액(755억원)으로 나눈 결과값이다. 개별 종전자산평가는 사업시행계획(안) 인가 고시일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조사시점이었던 올해 5월 기준으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와 가격 수준 등에 기초한 추정에 의해 비례율을 계산했다. 조합원 분양가는 ▲39타입(3.97억원) ▲59타입(5.79억원) ▲84타입(7.29억원)으로 추정됐으며, 조합원들은 개별 종전자산 추정액에 추정비례율(76.4%)을 곱한 권리가액을 통해 분담금을 계산할 수 있다. 물론 추정분담금은 확정된 내용이 아니며 향후 사업시행계획과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