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DL이앤씨가 강동구 천호뉴타운(천호재정비촉진지구)에 들어서는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의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했다. 14일 청약홈에 따르면 오는 23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4~25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11월2일(목) 발표된다. 일반분양 타입별 가구수는 ▲44(17가구) ▲47A(28가구) ▲47B(21가구) ▲59A(4가구) ▲59B(33가구) ▲59C(22가구) ▲74A(11가구) ▲74B(50가구) ▲74C(29가구) ▲84A(39가구) ▲84B(9가구)다. 총263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각각 130세대, 133세대로 나뉜다. 47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6억8,610만원에서 최대 7억2,880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59타입의 경우 9억1,150만원에서 9억8,380만원으로 가격이 산정됐다. 발코니 확장금액은 47타입의 경우 1,580만원 수준이며, 59타입은 1,690만원, 74타입은 1,810만원, 84타입은 1,890만원 수준이다. 공급금액은 계약금, 중도금, 잔금의 순서로 납부하면 된다. 현 시점에서 입주예정일은 2026년 1월로, 정확한 입주일자는 추후 통보된다. 비규제지역에 들어서기 때문에 청
한미글로벌디앤아이가 천호뉴타운(천호재정비촉진지구)에 들어서는 천호역 마에스트로의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했다. 14일 청약홈에 따르면 오는 23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24~25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11월3일(금) 발표된다. 총 8개타입 ▲30A(20세대)▲30G(2세대)▲33C(15세대)▲33E(2세대)▲38B(20세대)▲38H(2세대)▲43D(14세대)▲55F(2세대)이다. 총 77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각각 38세대, 39세대로 나뉜다. 30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6억9,900만원에서 최대 8억7,400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33타입의 경우 7억600만원에서 8억5,300만원으로 가격이 산정됐다. 이 아파트는 전세대 발코니 확장을 기본으로 일괄 시공해 공급하며 현 시점에서 입주예정일은 2025년 2월로, 정확한 입주일자는 추후 통보된다. 이 단지는 강남4구 중 유일한 비규제지역에 조성되는 만큼, 청약 진입 장벽이 낮아 예비 청약자들의 많은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순위 자격요건으로는 청약통장 가입기간이 12개월 이상, 지역별·면적별 예치금을 충족한 만 19세 이상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라면 세대주·세대원,
Q. 정비사업을 진행할 때, 간혹 대의원 수가 법정 정족 수에 미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대의원은 어떤 절차를 통해 보궐선임을 진행해야 할까요? 추가적으로, 보궐선임 전까지 대의원회는 제 기능을 할 수 있을까요? A. 서울특별시 정비사업 표준선거관리규정 제50조 제3항은 ‘대의원의 수가 법 제25조 제2항(현행법 제46조 제2항)에 따른 대의원의 수에 미달되게 된 경우에는 제7조제3항 ․ 제13조제3항 ․ 제31조제1항에 따른 “대의원회”는 “이사회”로 하며, 이 경우 선관위원 후보자가 정수 이상 등록된 경우의 선관위원 선임은 구청장이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대의원의 수가 미달되는 경우 조합 선관위는 5인 이상 9인 이내의 선관위원으로 구성하며, 선관위원은 선거인 중에서 당해 정비사업의 조합설립에 동의한 자 중 이사회에서 후보자를 등록받아 이사회 의결을 통해 선임 및 구성하고, 선관위원 후보자가 정수 이상 등록된 경우로서 이사회 또는 선거인의 1/10이상의 요청이 있는 경우 선관위원의 선임을 구청장에게 의뢰할 수 있다. 따라서 총회(또는 대의원회, 다만 다툼의 여지 있음) 보궐선거를 하되, 선거관리위원은 이사회에서 선임 및 구성
서울 송파구 잠실 장미아파트가 최고 '50층' 높이로 재건축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시는 인근 대장주인 잠실주공5단지와 함께 일대에 산 모양의 스카이라인을 형성해 '명품주거단지'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12일 도시계획포털에 '잠실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 및 구역 지정안'을 열람공고했다. 지구단위계획이란 해당 지역의 높이·용적률·공공기여방안·인센티브 체계·권장용도 등을 담은 재건축 밑그림을 의미한다. 잠실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에는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와 잠실주공 5단지, 장미1·2·3차, 미성·크로바, 잠실진주 등 핵심 단지가 포함됐다. 시는 계획안에서 잠실주공5단지(1구역), 장미1·2·3차(2구역), 미성·크로바(3구역), 진주(4구역) 등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했다. 모두 재건축이 진행 중인 단지로, 특별계획구역에 지정되면 유연한 높이·용적률 계획 등을 적용해 별도 개발안을 만들고 이를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하철 2호선 잠실나루역 역세권인 데다 한강변 단지인 장미1·2·3차의 용도가 상향될지 주목된다. 이 단지는 용도가 1종 일반주거지역과 7층으로 제한된 2종 일반주거지역,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나뉘어
세운지구 소상공인을 품은 '산림동 상생지식산업센터'가 본격 운영에 돌입한다. 서울시는 세운지구 세입자 이주대책의 하나로 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함께 조성한 공공임대산업시설 '산림동 상생지식산업센터'가 운영을 시작했다고 12일 밝혔다. 을지로 일대에 위치한 세운지구에 밀집한 전기, 전자, 금속, 인쇄 등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는 청계천 일대 재개발로 오래된 건물들이 철거되며 갈 곳을 잃을 처지에 놓였다. 이에 시는 정비사업 대상지 세입자들의 재정착을 돕고 도심 산업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2020년 4월 LH와 협약을 맺고 LH 비축토지를 활용한 공공임대산업시설과 창업지원시설 조성을 추진해 올해 공사를 마쳤다. 사업은 서울시(15%)와 LH(85%)가 공동으로 시행했다. 시에서는 설계 인·허가 등 행정지원을 담당했으며, LH에서는 설계·건설 등 신축을 총괄했다. 산림동 상생지식산업센터는 지하 1층~지상 6층, 연면적 4235㎡의 규모로 총사업비 236억원을 투입해 조성했다. 1층~5층은 총 58개의 공공임대상가로 구성돼 있으며 LH에서 소유·운영한다. 6층 전체는 청년 창업지원시설로 조성했으며 시 일자리정책과에서 소유, '청년취업사관학교'로 활용한다. 시는
DL건설은 지난달 '서울형 친환경공사장 이행평가'에서 감사장(법인) 및 표창장(개인)을 동시에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시는 친환경공사장 운영에 대한 자발적 협약을 맺은 12개 건설사와 101개 공사장을 대상으로 지난해 7월부터 지난 6월까지 친환경공사장 참여도, 이행률을 기준으로 이행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이번 시상은 시내 공사 현장 내 비산먼지 발생 저감을 위한 자발적 노력을 이어가는 건설사, 환경관리자를 포상하기 위해 진행됐다. DL건설은 이번 평가 중 법인 부문에서 성과를 인정받아 감사장을 수상했다. 특히 평가 기간 동안 서울시 소재 협약 참여 현장을 포함한 전 사업장의 '노후 건설기계 저공해조치 의무화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성실히 수행한 점을 크게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DL건설은 ▲공사차량 실명제 운영 및 현장교육 실시 ▲현장 주변도로 1일 2회 이상 전담 살수 조치 ▲야자매트 추가설치 및 주기적 살수 시행 ▲사물인터넷(IoT) 활용 미세먼지 실시간 관제 실시 ▲포그노즐을 활용한 살수시스템 구축 ▲무인살수시스템 개발 ▲미세먼지 흡착필터 운영 등 노력을 이어갔다. 아울러 'e편한세상 답십리 아르테포레' 소속인 지현 차장이 개인부문
포스코이앤씨가 서울시 강동구 천호4구역 일대에 짓는 '더샵 강동센트럴시티'의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다. 8일 청약홈에 따르면 오는 16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7~18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10월24일(화) 발표된다. 총 5개타입 ▲59A(24세대) ▲59B(42세대) ▲84A(25세대) ▲84B(19세대) ▲84C(58세대)이다. 총 168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각각 71세대, 97세대로 나뉜다. 59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9억7,690만원에서 최대 10억2,600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84타입의 경우 13억4,800만원에서 14억2,640만원으로 가격이 산정됐다. 발코니 확장금액은 59A타입의 경우 780만원 수준이며, 59B타입은 1,295만원 수준이다. 또 84A타입은 1,390만원, 84B타입은 1,860만원이며 84C타입은 1,635만원이다. 현 시점에서 입주예정일은 2025년 12월로, 정확한 입주일자는 추후 통보된다. 1순위 자격요건은 청약통장 가입기간이 12개월 이상, 지역별·면적별 예치금을 충족한 만 19세 이상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라면 세대주·세대원, 유주택자 모두 1순위 청약이 가능하다. 또
서울시가 다음달 30일까지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에 참여할 반지하 주택·취약가구 거주 주택·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저층 주택을 모집한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올해 상반기 반지하·취약가구 거주 주택의 집수리를 지원했고, 하반기에는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저층주택으로 대상을 확대했다. 사용승인 후 10년 이상된 반지하 주택과 취약가구 거주주택,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내 사용승인 후 20년 이상 된 단독·다세대 주택 등이 대상이다. 반지하 주택은 공사비의 50%(최대 600만원), 취약가구 거주 주택은 80%(최대 1000만원),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 내 저층주택은 50%(최대 1000만원)를 보조한다. 보조금 지원 범위는 성능개선(단열·방수 등), 안전시설(개폐식 방범창·화재경보기 등), 편의시설(안전손잡이·문턱 제거 등)을 위한 집수리 공사로 한정한다.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가구는 주택이 소재한 자치구에 신청서 및 첨부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집수리닷컴 웹사이트에서 모집공고문 및 신청서류를 내려받을 수 있으며, 자신이 사는 주택이 주택성능개선지원구역에 해당하는지는 주소를 검색해보면 된다. 시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반지하 주택과 취약가
서울 여의도에서 가장 오래된 대표 노후 아파트였던 시범아파트가 2,466세대 대규모 주택단지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4일 제6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를 개최하고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5일 밝혔다. 시범아파트는 1971년에 준공된 27개동, 1584가구 규모의 노후 아파트로, 지난해 9월에 신속통합기획이 완료됐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시범아파트를 보고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폐허화 됐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번 결정으로 용적률 399.99% 이하, 연도형 상가(도로를 따라 배치된 상가)와 지역 주민에게 개방되는 커뮤니티센터가 포함된 총 2,466가구의 대규모 주택단지로 재건축된다. 한강과 가까운 위치적 이점을 살려 문화시설을 갖춘 수변 문화공원이 조성되고, 원효대교 진입 램프와 차도로 인해 단절된 한강공원을 잇는 입체보행교가 신설돼 녹지·보행 친화적인 주택단지로 조성된다. 아울러 수변 구릉지의 지형적 경관 특성을 보호하고 주변 상업·업무시설과의 조화로운 스카이라인이 조성될 수 있도록 고층 타워 및 중·저층형 주거지 등 다양한 주동이 계획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
서울 성동구 왕십리 역세권에 판매·숙박·주거 기능을 갖춘 55층 높이의 복합 시설이 들어선다. 왕십리역 9번출구 인근에 55층 규모 빌딩 2채, 44층 규모 빌딩 1채가 조성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4일 제15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성동구 행당동 248번지 일대 '왕십리역세권4 특별계획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5일 밝혔다. 대상지인 왕십리역은 환승역세권으로 대중교통의 요지지만 노후 건축물이 많아 환경 개선이 시급한 곳이었다. 이번 결정으로 복합개발을 통해 용적률 800% 이하, 지하 7층∼지상 55층, 연면적 13만㎡ 규모의 판매시설, 관광숙박시설, 공동주택(631세대) 등이 조성된다. 빌딩 지하1층에는 지하철 연결 통로가 설치된다. 수영장, 평생학습관, 공공임대상가, 공공주택 등 지역 내 필요 시설도 만들어진다. 아울러 왕십리 교차로와 남측의 소월아트홀 등 문화시설로의 보행 활성화를 위해 단지 내 공공보행통로를 계획해 보행편의 및 개방감을 확보할 예정이다. 조남준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왕십리역세권4 특별계획구역의 정비계획 결정으로 주거·상업·문화·교육 시설 등이 어우러진 입체복합도시 구축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