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NH투자증권 舊사옥 자리에 짓는 여의도234 레지던스(생활형숙박시설) 분양 홍보가 한창 진행중인 가운데,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한껏 침체된 부동산 시장에서 수익형 상품을 향한 투자 수요가 얼마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여의도 금싸라기 땅에 공급되는 만큼 예상 임대수익률을 계산하며 투자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투자자들의 고심도 깊어질 전망이다. 11일 분양업계 따르면 여의도234 레지던스는 잠재 수분양자들로부터 사전의향서를 접수받으며 분양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지하 5층~지상 57층 규모의 생활형숙박시설로 분양가는 약 13억~45억원 수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3개 타입, 총 348실 규모로 맨 꼭대기 층엔 펜트하우스가 지어진다. 입주 목표일은 '26년 5월이다. 시행사는 '마스턴제51호 여의도 피에프브이 주식회사'로 마스턴투자운용이 개발 시행 목적으로 '19년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오버나인와이디와 우미글로벌, NH투자증권 등이 SPC가 발행하는 보통주를 매입했고, 무궁화신탁과 마스턴투자운용 등이 우선주 투자로 해당 개발사업에 기관투자자(LP)로 참여했다. 우미글로벌은 광주지역 중소 건설사다. 생활형숙박시설은 호텔식 서비스가 제공되는
중랑구 중화동에 위치한 리버센 SK VIEW 롯데캐슬이 일반분양을 앞둔 가운데, 연말 각 자치구별 랜드마크 단지들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분양가와 시세 간극이 좁혀지면서 예전과 같은 안전마진 개념이 약화된 가운데 리버센 SK VIEW 롯데캐슬의 청약 결과와 계약률에 따라 분양 시장이 요동칠 전망이다. 10일 정비업계 따르면 중화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지어지는 리버센 SK VIEW 롯데캐슬의 일반분양 신청이 다음 주 월요일부터 진행된다. 내주 14일(월)과 15일(화)에 각각 특별공급과 일반1순위가 진행된다. 관심을 모으는 일반공급 물량은 총 336세대로, 전체 1,055세대 중 약 32%를 차지한다. 59㎡ 분양가는 6.7~7.5억원이며, 84㎡는 8.8~9.7억원이다. 중화동에 위치한 1997년 지어진 한신아파트(1,544세대)의 '22년 7월 실거래가는 59㎡ 7.4억원, 84㎡ 9.15억원이다. 다만 현재 59㎡ 매매 호가는 6.9억원까지 나와 있고, 84㎡는 8억원이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같은 평형이라도 동호수에 따라 가격이 다른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지만, 올해 7월과 단순 비교했을 때 실거래가보다 호가가 약 1억원
국토교통부가 실수요자 보호와 부동산 거래 정상화 방안의 일환으로 규제지역 전면 해제 카드를 꺼내들었다. 앞서 6월과 9월 두차례에 걸쳐 세종을 제외한 지방 전체가 규제지역에서 해제된 데 이어, 이번에 수도권도 대거 해제됐다. 정부가 장기간 기준금리 인상 기조로 인해 발생할 급격한 부동산 경기침체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국토교통부는 서울과 경기도 4곳(과천·성남·하남·광명)을 제외한 수도권 전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키로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은 주변지역에 미칠 영향과 높은 주택수요 등을 감안해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을 유지하기로 판단했다. 서울과 유사한 시기에 규제지역으로 지정됐던 ▲과천, ▲성남(분당·수정) ▲하남 ▲광명도 현상 유지된다. 규제지역 해제에 따른 효력은 오는 14일(월) 0시를 기점으로 발생한다.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조정(안)'은 제3차 부동산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됐다. 정부는 금리인상 기조 장기화와 가격 고점 인식 등으로 매매가격의 낙폭이 확대됐지만, 과거 5년 상승분과 비교할 때 아직까지 하락폭이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22년 9월 현재 미분양 재고도 4.2만호로 위험수준(10만호 이상)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