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관악구 내 봉천14구역이 조합장 연임 안건을 포함해 총 7개 안건을 다루는 2023년 정기총회를 이달 말 개최한다. 연초 교통영향평가를 통과한 뒤, 다음 단계인 건축심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분위기다. 봉천14구역은 주변과의 지형단차를 고려한 외저내고형 주동배치계획을 통해 조화로운 스카이라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15일 정비업계 따르면 봉천14구역 재개발 조합은 이달 29일(토) 오후 2시 강남중앙교회에서 2023년 정기총회를 진행한다. 총회 상정되는 안건은 ▲제1호 안건(2022년 예산 사용내역) ▲제2호 안건(조합 기 수행업무 추인) ▲제3호 안건(2023년 예산안) ▲제4호 안건(자금 차입) ▲제5호 안건(조합임원 연임) ▲제6호 안건(총회 의결사항 중 대의원회 위임) ▲제7호 안건(정기총회 비용 승인) 등이다. 제5호 안건은 윤승호 봉천14구역 조합장을 포함한 집행부 임기 만료가 가까워지면서 상정됐다. 봉천14구역은 지난 2020년 9월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바 있다. 작년 6월에는 정비계획 변경(안)이 지정 고시됐다. 구역 면적은 74,209㎡며, 이중 공동주택(부대복리시설 포함)과 정비기반시설은 각각 58,781㎡, 15,428㎡다. 봉천14구역
디에이치방배로 새롭게 거듭날 방배5구역이 구역 내 오염토를 모두 걷어내고 지난 달 말부터 본격적인 터파기 공사에 착수했다. 올해 2월 조합원 총회를 거쳐 관리처분계획 변경안을 통과시킨 방배5구역은 남은 인허가 작업들을 공사 기간 내 병행할 예정이다. 총 3,065세대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설 방배5구역의 조합원 분양가는 전용면적 84㎡ 기준 약 13억원대, 101㎡ 기준 약 15억원대에서 결정됐다. 14일 정비업계 따르면 방배5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조합이 올해 통과시킨 관리처분계획(안) 상 비례율은 약 245%로 결정됐다. 통상적으로 비례율은 조합원 권리가액을 산정하는 지표며, 추정분담금을 결정한다. 조합원들은 본인이 원하는 평형대의 조합원 분양가에서 권리가액을 제한 금액을 추가적으로 분담하거나 혹은 환급받을 수 있다. 권리가액은 종전자산평가금액에 비례율을 곱한 결과값이다. 국민평형인 84㎡ 기준, 조합원 분양가는 평당 약 4,000만원이며 일반 분양가는 평당 약 5,000만원 수준이다. 물론 향후 사업비 변동에 따라 조합원 분양가와 일반 분양가 변동 가능성은 항시 존재한다. 방배5구역도 현대건설과 시공비 증액을 두고 협상을 진행해야 하는 만큼, 사업성 관련
신설동역(1·2호선·우이신설선)을 품은 숭인동1169구역이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돼 사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 재개발 방향성을 두고 주민들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어 정비업계 관심이 모아진다. 공공재개발과 민간재개발(지역주택조합) 추진 주체 간 협의 없이는 노후화된 주거 환경 개선이 어려운 만큼, 사업 현실화 가능성을 감안해 주민들 간 합심할 필요가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13일 정비업계 따르면 숭인동1169구역은 ▲공공재개발(주민봉사단) ▲민간재개발(지역주택조합) ▲상가 소유주 반대로 인해 주민들 간 개발 방향성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황이다. 3개 주체 모두 각자 처한 상황과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숭인동1169구역 토지등소유자(총 123세대) 현황을 살펴보면, ▲주택(64세대) ▲상가(51세대) ▲교회(1세대) ▲기타 근린생활시설(7세대)로 고루 분포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숭인동1169구역은 지난 2021년 3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되며, 그간 3차례 주민설명회를 열며 정비계획(안) 입안을 위한 준비를 해왔다. 이 지역은 100% 준주거지역으로 이뤄져 있으며, 구역 면적은 약 14,158㎡다. 예상되는 주택공급계획 세대 수는 약 710세대
송파구 삼전동 모아타운 사업이 주민들 중심으로 발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달 예정된 2차 설명회에서 개략적인 추정분담금이 안내될 예정이다. 삼전동 상단 A·B구역(가칭)은 주민 중심의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올해 서울시 수시공모와 주민제안을 투트랙으로 준비하고 있다. 2차 설명회는 부동산 PM(Project Management) 회사인 ㈜키라에셋이 1차 때와 마찬가지로 주민들의 궁금증 해결에 나선다. 13일 정비업계 따르면 삼전동 상단 A·B구역은 이달 22일(토) 오후 2시 송파구민회관 3층 대강당에서 모아타운 2차 설명회를 개최한다. 3층 대강당은 약 600명 정도 수용할 수 있는 장소다. 추진위원회 측은 지난 달 21일 토지등소유자를 상대로 사업설명회를 열어 핵심과제 및 로드맵을 설명했다. 2차 설명회는 주민들이 기대했던 사업성 분석 및 개략적인 추정분담금에 대한 내용이 안내될 예정이다. 삼전동 상단 A·B구역은 모아타운 신청을 위한 사전 안내도 진행한다. 추진위원들은 토지등소유자들로부터 2개(수시 공모·주민 제안) 동의서 징구에 매진할 예정이다. 서울시가 모아타운 2.0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주민동의율 30%를 얻어 수
방배14구역이 올해 하반기 건축심의(안) 변경 통과를 목표로 조합 업무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서초구청의 철거심의를 앞두고 있으며 상반기 건축물 이외 부분은 철거를 시작할 예정이다. 구역 내 서측으로 이수중학교를 품고 있는 만큼, 학생들의 학사일정(여름방학)을 고려해 적정 시기를 엿보고 있다. 시설물 철거 시 안전을 위해 서초구청과 지속적인 협의 하에 만반의 채비를 갖추고 있다. 12일 정비업계 따르면 방배14구역 재건축 조합은 사업시행계획(안) 변경 인허가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교통영향평가와 건축심의(특별건축구역·우수디자인·경관 통합심의) 변경을 진행하는 동시에 철거계획서 준비도 병행하고 있다. 속도가 곧 사업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투트랙(Two-Track)으로 진행하며 사업기간 단축에 매진하고 있는 모양새다. 방배14구역은 6m 도로인 방배중앙로3길(국유지)을 기준으로 2개 구역으로 나뉜다. 구역 내 조합원 수는 255명인데, 이중 5명은 현금청산이 완료된 상황이다. 남은 조합원 수(250명)와 1+1 매물(80명)의 숫자를 감안할 때, 일반분양은 약 120개 정도가 나올 전망이다. 작년 3월 서울시 도시계획심의위원회에서 '방배14구역 주택재건축 정비
'구제촌'으로 불리우는 신당10구역이 올해 2월 서울시로부터 정비계획(안) 수정가결을 받은 뒤 조합직접설립을 위한 용역 절차를 수행하고 있다. 중구청의 집중 지원사격을 받고 있는 신당10구역은 연내 조합설립을 목표로 제반작업을 하나씩 밟아 나갈 예정이다. 조합직접설립 동의율(76%)을 감안할 때, 조합설립인가를 위한 법정 동의율(75%) 달성도 무난할 것으로 관측된다. 12일 정비업계 따르면 신당10구역은 주민협의체 구성을 위한 용역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연초 서울시로부터 정비계획(안) 수정가결도 받은 만큼, 구역지정도 조만간 행정 처리가 마무리되면 고시될 예정이다. 서울시의 수정가결 요청사항은 2가지다. 첫 번째는 전시박물관 규모를 연면적 6,250㎡까지 확보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문화재와 연접한 지역인 만큼 경관관계·자원보전·장소성을 고려해 건축계획이 보완돼야 한다는 점이다. 신당10구역은 중구 신당동 236-100번지 일대 자리잡고 있으며, 구역면적은 63,893㎡다. 3년 전 진행한 사전타당성 조사에서 50%를 상회하는 주민들이 재개발에 찬성했고, 2021년 구역정형화를 조건부로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듬해 신속통합기획(안) 확정을 위한
"1991년 '남산 제모습찾기 기본계획'이 수립되며 남산을 둘러싼 주변 지역들의 경관 관리가 본격화됐다. 법제화된 건 4년 뒤다. 남산 주변 242만㎡는 1995년부터 고도제한 구역으로 묶이며, 30년 가까운 세월동안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중구청은 현행 고도제한의 근거 및 기준을 명확히 파악한 뒤 합당한 고도지구 조정원칙을 통해 서울시와 행정 협상을 이어나가고자 한다." 안병석 중구청 도심재정비전략추진단장이 하우징워치를 만나 남산 고도제한은 현 시점에 맞게끔 재조정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구청은 우선적으로 완화 가능한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고도제한을 풀어줘야 한다는 제1원칙을 기치로 삼았다. 고도지구 조정원칙으로는 ▲실제 경관 고려한 조망점 현실화 ▲중복 규제에 대한 높이관리 일원화 ▲시범지구 등 공공지원방안 마련 등을 수립했다는 게 안 단장의 설명이다. 안 단장은 "중구청은 무작정 고도제한을 없애야 한다는 접근이 아닌 다소 불합리한 점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전제로 일을 하고 있다"며 "법제화된 건 1995년이지만, 법의 근간이 된 남산 제모습찾기 기본계획(1991년)은 지금으로부터 30여년이 넘었다"고 말했다. 이어
상계뉴타운 소속인 상계1구역이 조합원들을 상대로 분양신청에 착수한 가운데, 조합은 인가받은 사업시행계획(안)에 맞춰 관리처분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원안대로 관리처분계획(안)을 인가받은 후 설계·평형 변경을 진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상계1구역 시공사는 작년 4월 총회를 통해 선정된 HDC현대산업개발이다. 11일 정비업계 따르면 상계1구역은 4월 12일(수)부터 6월 14일(수)까지 토지등소유자를 대상으로 분양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분양 신청을 하지 않게 될 경우,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제73조에 따라 현금청산자로 분류된다. 분양신청 마감일 후에는 조합원 자격이 상실된다. 조합원·일반분양 대상 물량은 1,098세대로 전용면적 기준 ▲36㎡(23개) ▲42㎡(26개) ▲47㎡(14개) ▲59A㎡(308개) ▲59B㎡(174개) ▲59C㎡(6개) ▲75㎡(203개) ▲84㎡(344개) 등으로 구성된다. 조합은 최근 상계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분양신청 안내문을 발송해, 종전자산감정평가액과 함께 평형대별 조합원 분양가를 공개했다. 조합원 분양가는 전용면적 기준 ▲36㎡(3.4억원) ▲42㎡(4.2억원) ▲47㎡(4.6억원) ▲59A㎡(5.6억원) ▲59B㎡(5.
서울시 모아타운 시범사업지인 번동 429-97일원이 이번 달 정기총회를 통해 사업시행 인가를 위한 토대 마련에 나선다.'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따르기 때문에 사업시행계획(안)에는 관리처분 내용도 포함된다. 모아타운 후보지 총 65개소가 지켜보고 있기에, 서울시에서도 속도감 있는 사업전개를 위해 행정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1일 정비업계 따르면 번동 1~5구역은 이달 13일(목)과 14일(금) 양일에 걸쳐 2023년 정기총회를 열 예정이다. 주요 안건으로는 사업시행계획(관리처분 포함) 인가를 위한 의결이다. 5개 구역이 발맞춰 사업 진도를 빼는 까닭은 동시 착공을 위한 목적과 연관돼 있다. 정기총회를 마치고 난 뒤, 다음 달에는 사업시행계획(안) 인가 신청을 진행할 예정이다. 강북구 번동은 총 5개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쪼개져 모아타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중 비례율은 번동4구역이 약 121%로 가장 좋다. 나머지(1·2·3·5) 구역은 약 103~105% 수준이다. 보통 비례율이 100%를 넘으면 사업성이 좋다고 여겨진다. 조합원 권리가액은 본인들이 소유한 물건에 비례율을 곱한 값이며, 이는 추정분담금을 가늠할 수 있는 지
수색·증산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 소속인 수색8구역이 올해 9월 이주를 시작하고 수색변전소 지중화 작업이 끝나는 시점에 맞춰 착공에 들어갈 방침이다. 수색8구역은 올해 1월 26일 원안대로 관리처분계획(안)을 인가받았지만 현재 재정비촉진계획(안) 변경작업을 진행하며 설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수색변전소 지중화 작업은 2025년 완공예정이다. 이 점을 감안할 때, 수색8구역 착공도 2025년 이뤄질 전망이다. 11일 정비업계 따르면 수색8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은 이주·철거 시점과 맞물려 사업시행계획(안)과 관리처분계획(안) 변경 인허가 작업을 진행한다는 복안이다. 기존에 별동이었던 공공임대주택을 소셜믹스로 섞고, 대형 평형대를 늘리는 방향으로 건축 설계를 바꾸고 있다. 추가적으로 SK에코플랜트의 하이엔드 브랜드인 '드파인(DEFINE)' 적용도 검토하고 있다. 은평구청이 올해 2월 고시한 수색8구역 관리처분계획(안)에 따르면, 구역면적은 29,884㎡다. 용적률과 건폐율은 각각 263%, 22%다. 주택공급계획은 총 578세대(공공임대주택 99세대)로 계획됐지만 이를 656세대로 늘린다는 게 수색8구역의 계획이다. 조합원 338명 중에서 326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