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목동14단지가 6단지에 이어 두 번째로 정비계획(안) 수립 절차에 나서며 재건축 대열에 합류했다. 정비계획(안)은 두 차례 신속통합기획 자문회의를 거쳐 수정·보완됐고, 최근 주민설명회에서 윤곽을 드러냈다. 목동14단지는 금년 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문턱을 넘어 구역지정을 받아낼 계획이다. 11일 정비업계 따르면 양천구청은 최근 목동14단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용역업무를 수행한 KTS엔지니어링(도시계획업체)이 프레젠테이션(PT) 발표자로 나섰다. 목동14단지 정비계획(안) 공람공고 기간은 지난 달 27일 종료됐다. 해당 사업장의 구역면적은 250,722㎡, 이중 공동주택을 지을 획지면적은 208,206㎡다. 목동14단지는 목동동로8길을 따라 3개 획지로 구분된다. 토지 용도지역은 제1종일반주거지역,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구성돼 있으며, 전체 면적 기준 각각의 비율은 9%, 91%다. 용적률 체계는 ▲기준용적률(210%) ▲허용용적률(230%) ▲상한용적률(247.8%) ▲법적상한용적률(300%) 등으로 수립됐다. 기준용적률에서 허용용적률로 가기 위한 인센티브(20%p) 항목은 공공보행통로와 열린단지, 공동주택 시설성능개선으로 구성된다. 15m 폭원의 공공보행통로는 철도(지하철 2호선) 지상부에 조성된다. 상한용적률 증가분(17.8%p)은 토지·건축물 기부채납에 따른 혜택이다. 목동14단지는 사회복지시설(3,600㎡)과 공원(12,121㎡) 등을 인허가청에 제공한다. 법적상한용적률 인센티브(52%p)의 절반은 임대주택을 지어야 한다. 토지·건축물 기부채납 면적(순부담)은 15,382㎡로 구역면적 대비 6.1% 수준이다. 토지이용계획은 신속통합기획 자문(Fast-Track) 과정에서 계속 변경됐다. 우선, 공동주택 획지가 4개에서 3개로 줄어들었다. 사회복지시설도 대중교통 접근성을 고려해 양천공원 근방으로 위치가 재조정됐다. 주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고려한 대목이다. 근린공원의 경우, 양천 5대공원축을 고려해 기존 안양천변에서 갈산공원 쪽으로 옮겨졌다. 해당 단지의 건축계획(안) 상 최고 높이는 60층으로 계획이 잡혀 있다. 다만, 높이 계획은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서울시 심의를 받아야 하는 사항이다. 실제로 동부이촌동에 위치한 이촌한강맨션은 68층 높이로 정비계획(안) 변경작업을 추진했으나 서울시로부터 반려받았다. 예상되는 주택공급물량은 5,007세대, 이중 임대주택은 547세대다. 1세대당 주차 대수는 2대며, 건폐율은 약 20%로 수립됐다. 목동14단지는 국민주택규모(85㎡ 이하)를 전체 가구 수의 66%로 설계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60㎡이하(685세대) ▲60㎡~85㎡이하(2,627세대) ▲85㎡초과(1,695세대) 등으로 분류된다.
한남2구역이 대우건설의 홍보기획팀 운영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118프로젝트 달성 여부 평가 시점(24년 8월 31일)이 다가옴에 따라, 조합과 일체 사전협의 없이 OS요원을 가동한 대우건설에 불편한 내색을 여과없이 드러낸 것이다. 10일 정비업계 따르면 한남2구역 재건축 조합(홍경태 조합장)은 지난 달 대우건설에 '홍보기획팀 운영 중지' 내용이 담긴 공문을 전달했다. 조합원들로부터 재신임을 받아야 할 대우건설이 성급하게 홍보 OS요원들을 현장에 투입했다는 점을 우선 지적했다. 홍보기획팀 운영이 아니더라도, 조합원들을 만날 수 있는 온·오프라인 모임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설명했다. 한남2구역이 공문을 발송한 건, 자칫 사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조합원 간 불필요한 갈등이 조장될 수 있고,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이다. 무엇보다 118프로젝트 평가 시점이 임박한 시점에, 성급하게 홍보 OS요원을 통해 조합원 관리에 나선 행위는 사업 방해로 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개별 접촉이 아닌, 공개된 자리에서 만남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공문 요지다. 현 시점, 한남2구역의 118프로젝트 달성은 요원해진 상황이다. 용산구청은 올해 4월 한남뉴타운 조합장들을 만난 공개석상에서 '한남2구역 고도완화'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의견을 냈다. 당시 용산구청은 한남3구역 역시 고도완화를 포기하고 실익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재정비촉진계획(안) 변경을 진행했다는 점을 부연 설명했다. 이는 곧, 한남2구역도 고도완화 대신 사업성을 확보할 다른 방안으로 접근하라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 한편, 대우건설은 118 프로젝트가 불가능해지더라도 조합원들에게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설령 시공자 지위를 잃을 경우에도, 어떠한 법적 소송도 제기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DL이앤씨가 잠실우성4차 프로젝트명을 '아크로잠실'로 정해 입찰제안서를 냈다. 오는 7월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에서 조합원들의 선택을 받아야 시공권 확보가 가능하다. DL이앤씨는 입찰경쟁 구도를 만들지 않는 방향으로 정비사업 수주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수의계약 목표로 활동 중인 사업장은 ▲한남5구역 ▲용산산호 ▲도곡개포한신 등이다. 최근 내부심의에서 삼환가락은 스스로 우선협상권 지위를 포기했다. 7일 정비업계 따르면 잠실우성4차 재건축 조합(윤기헌 조합장)은 이달 중 대의원회를 열어, DL이앤씨를 총회 안건으로 상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DL이앤씨는 입찰제안서를 제출했고, 입찰보증금도 낸 상황이다. 당초 수의계약 체결을 앞두고 DL이앤씨의 내부심의가 늦어져 중도 이탈 우려가 커졌지만, 우여곡절 끝에 오는 7월 6일(토) 시공사 선정 총회가 열리게 됐다. 조합은 ▲입찰제안서 상 설계도면 ▲공사비 산출내역 ▲품목별 가격비교표 ▲시공사 도급계약서 등을 꼼꼼하게 검토하고 있다.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는 전체 조합원의 절반 이상(291명)이 현장에 참석해야 성원이 이뤄진다. 서면결의서 제출은 현장 참석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DL이앤씨를 시공사로 선정하는 총회 앞서, 조합은 이달 15일(토) 임원 연임을 위한 정기총회를 먼저 개최키로 결정했다. 현 집행부 임기는 9월 중 종료된다. 이외에도 서울시로부터 빌린 사업비 대여금 만기일이 이달 종료되는 까닭에 총회 개최가 불가피했다. 서울시 융자금은 변동이자를 따르며, 종전 3.5%에서 4%로 0.5%p 상승했다. 융자금을 연장하려면, 인상된 이자율 적용에 대한 조합총회 의결서 제출이 필요하다. 인상된 이자율에 대한 적용근거를 마련 못하면, 도로 상환해야 한다. 서울시로부터 대여하는 정비사업 융자금은, 서울시 융자지원 계획을 따른다. 담보대출은 필요경비의 80% 이내에서 연 2%로 빌릴 수 있고, 신용대출은 건축연면적 기준(20만㎡~30만㎡) 최대 30억원을 연 4%로 빌릴 수 있다. 잠실우성4차 외에도 최근 서울시 융자금 만기가 도래한 사업장들은 총회에서 인상된 이자율(4%)에 맞춰 조합원 의결을 받고 있다. 잠실우성4차 사업 면적은 31,961㎡다. 용도지역은 기존 제3종일반주거지역을 그대로 유지한다. 용적률 체계는 ▲기준용적률(210%) ▲허용용적률(230%) ▲상한용적률(247.8%) ▲법적상한용적률(299.7%)이다. 법적상한용적률에서 상한용적률을 뺀 용적률의 절반 이상은 85㎡ 이하 임대주택으로 지어야 한다. 허용용적률에서 상한용적률까지 완화된 부분(17.8%)은 공공시설 기부채납에 따른 인센티브다.
"용적률 완화 정책만으로 사업성이 담보되진 않습니다. 단지별 여건과 제약사항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사업유형(재건축 or 리모델링)을 선택해야 합니다. 한국리모델링융합학회는 사업성 검토 툴인 '아주나비로(Ajou Navi-Ro)'를 활용해 사업 추진의 판단 근거를 만들어 드리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사실상 주민들의 전 재산을 내놓고 시작하는 일이기에, 사업성 검토는 필수입니다." 신동우 한국리모델링융합학회장(사진)은 하우징워치를 만나 A아파트의 사업성 분석 보고서부터 건넸다. 해당 보고서는 A아파트가 증축형 리모델링 혹은 재건축을 진행할 때의 개략적인 사업성을 비교해 놓은 내용으로 이뤄져 있다. 신 회장은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려면 초기 사업타당성 검토와 설계(안)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주대 리모델링연구단에서 제작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아주나비로'는 리모델링 여건과 사업 성공가능성을 분석해 단지 주민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아주나비로는 ▲건축설계 ▲사업타당성 ▲금융비용 ▲법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개발을 고민 중인 주민들에게 사업 방향성을 제시하는 나침반 역할이 핵심이다. 신 회장은 "아주나비로의 경우, 필요한 분석 범위에 따라 맞춤형 컨설팅 수행이 가능하다"며 "지금까지 수도권 20여개 이상 노후 단지에 대한 컨설팅 사업을 진행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학교 일조권 사선 제한과 세대간섭 등의 설계 적정성을 검토하는 일도 아주나비로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속한다"고 부연했다. 현재 한국리모델링융합학회는 지자체들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국책 R&D 사업 성과물을 시장과 공유하는 등 공익성 짙은 과업들도 병행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아주나비로를 통한 컨설팅 업무로도 확장을 꾀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 정책이 잇따라 발표됨에 따라, 리모델링을 추진해 왔던 사업장에 큰 혼란과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점에 대해선 아쉬움을 표했다. 총선 전 정비사업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발표한 '허용용적률 완화' 역시 적용 대상지와 관련한 이야기는 없었다는 점을 언급했다. 현재 리모델링 사업장을 중심으로 재건축 선회를 주장하는 조합원들이 생기고 있다. 신 회장은 "평생 리모델링 중심의 연구를 해왔지만, 무작정 리모델링을 해야 한다는 입장은 절대 아니다"라며 "단지가 처한 상황에 따라 사업 유형은 결정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현재 정부의 기조가 재건축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재건축만으로 주거환경 개선과 공급 문제를 모두 풀 수 없다는 점은 인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아주대 리모델링연구단(CART)은 경기도 광명시 등과 공공컨설팅을 수행 중이다. 리모델링연구단은 2005~2010년, 2015년도 두 차례에 걸쳐 정부의 예산 지원으로 운영됐지만, 현재는 국가지원이 종료돼 국토교통부 인가를 받은 비영리사단법인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리모델링연구단은 오는 6월 말 국회 세미나에서 '아주나비로' 연구결과를 알릴 예정이다.
동부이촌동에 위치한 이촌한강맨션의 정비계획 변경(안) 작업이 서울시 사전자문 단계에서 제동이 걸렸다. 당초 조합원 전 세대 '한강조망권' 확보 차원에서 진행한 68층 건축계획이 사실상 무산됐다. 조합은 서울시 사전자문결과를 반영한 조치계획서를 마련해 용산구청에 제출해야 한다. 이촌한강맨션이 서울시를 상대로 기존 35층 대비 얼마나 높은 층수를 확보할 수 있을지 업계 상당한 관심이 집중된다. 5일 정비업계 따르면 용산구 이촌한강맨션 재건축 조합(김운종 조합장)은 최근 조합원들에게 서울시 도시계획심의위원회 사전 자문결과를 공유했다. 핵심 내용으로는 ▲최고층수(68층) 하향 조정 ▲한강변 첫 주동(20층 이하) 별동으로 건축 ▲단지 중앙부는 높고, 경계부로 갈수록 낮은 텐트형 구조로 조정 ▲북측 가로공원의 서측 도로변 위치 조정 등이 꼽힌다. 층수 조정이 불가피한 만큼, 설계(안) 역시 큰 폭의 변화가 예상된다. 조합은 설계사인 건원건축을 통해 49층과 59층 설계(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시공사인 GS건설에는 기본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개략적인 공사비와 공사기간 산출을 요청해 놓은 상황이다. 조합은 이달 중 조합원 대상의 설명회를 개최해, 변경된 설계(안)과 공사비 증액 관련 이야기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파트 층수는 조합이 자의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사안이기에, 총회를 열어 조합원들의 의견을 물을 가능성이 높다. 당초 정비계획(안) 변경 이후 연내 조합원 이주를 시작하고자 한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 조합은 지난 4월 소식지를 통해 정비계획(안) 변경 작업이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음을 알림과 동시에, 집행부 차원에서 대관업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본격적인 심의가 이뤄지기 전인 사전자문 단계에서 '68층' 불가 판정을 받게 되면서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4분기 이주계획 역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현재 한강맨션은 시공사인 GS건설로부터 차입한 입찰보증금(1,000억원)을 사업비로 충당하고 있다. 작년 9월 기준, 대출 금리는 CD 91일물(3.83%)에서 가산금리 1.3%를 더한 5.13%다. 단순 계산으로, 연간 50억원 가량의 이자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조합은 설계변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비업체(주성CMC)와 설계업체(건원건축)의 용역비용도 모두 올려줬다. 한편, 한강맨션은 지난해 11월 임원(조합장·감사·이사) 선출을 위한 임시총회에서 집행부 교체가 이뤄졌다. 조합은 놀이터 지분을 최초 수분양자로부터 현재 조합원으로 소유권 이전을 위한 소송도 진행 중이다. 놀이터 소송은 현재 타인 명의로 등기되어 있는 지분을 조합원들이 찾아가는 절차로, 조합은 착공 전까지 대다수 조합원의 놀이터 등기를 완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송파구 가락프라자가 연말 관리처분계획(안) 수립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조합은 오는 6월 추정분담금 및 분양신청을 위한 조합원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5일 정비업계 따르면 가락프라자 재건축 조합(배재균 조합장)은 지난 4월 GS건설과 공동사업시행 협약을 체결했다. 공동사업시행 방식은 시공사와 조합이 함께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단순히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하는 것과 달리 시공사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진다. GS건설의 평당 공사비는 718만원, 전체 공사금액은 4,732억원으로 책정됐다. 조합은 작년 11월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했고, 전체 조합원(672명) 중 482명이 GS건설을 택했다. 현대엔지니어링 득표 수(146표)와 비교할 때, 3배를 웃도는 수치다. GS건설은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 이후 수주에 나설 첫 사업장으로 가락프라자를 선정한 바 있다. 향후 조합원들이 내야 할 추정분담금은 현재 송파구청이 검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조합은 ▲종전자산·종후자산 평가 ▲일반분양가 ▲사업비(공사비 포함) 등을 반영한 추정분담금 산출 작업을 완료했다. 송파구청의 검증 결과는 조만간 조합원들에게 통지될 예정이다. 조합원들은 앞선 추정분담금 자료를 바탕으로 분양신청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송파남부지역 조합장 연합회는 최근 송파구청과 서울시를 방문해 분양가상한제 폐지 및 임대주택 매각 현실화에 대한 입장을 전달했다. 가락프라자 아파트 사업장은 서울시 송파구 문정로 125번지 일대 위치해 있으며, 구역면적은 41,686㎡다. 용적률과 건폐율은 각각 299%, 22%며, 건축 연면적은 212,144㎡다. 재건축 후 예상 세대 수는 1,068세대로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은 각각 953세대, 115세대다. 타입별로 살펴보면 ▲59타입(70세대) ▲74타입(95세대) ▲84타입(361세대) ▲98타입(299세대) ▲114타입(118세대) ▲128타입(4세대) ▲156타입(6세대)으로 구성된다.
송파구 가락1차현대 재건축을 이끌어 갈 3기 집행부가 발족하면서 조합 정상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가락1차현대는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빚어진 각종 논란 끝에 지난해 해임총회가 진행됐다. 최근 송파구청의 공공지원으로 임원 선출 총회가 열릴 수 있었고, 조합원들의 신임을 받은 집행부가 새롭게 구성됐다. 4일 정비업계 따르면 가락1차현대 재건축 조합(이영두 조합장)은 이날 대의원회를 열어 정비업체 계약 해지 및 업무 정지를 위한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기존 정비업체는 한국씨엠개발이다. 신임 집행부 면면을 살펴보면, ▲조합장(이영두) ▲44평 소유한 이사(김하림·오석무·박용석) ▲31평 소유한 이사(박연옥·이윤혜) ▲상가 소유한 이사(이명기) ▲감사(최은수)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영두 신임 조합장은 조합원들에게 ▲모든 건설사들의 공정한 홍보 허용 ▲5,000만원 이하 용역도 경쟁입찰 진행 ▲임기 만료시까지 조합장 임금 동결 등을 약속했다. 공약사항 모두 청렴과 공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설계변경을 통해 기부채납 부지 위치와 임대주택 세대 수 등을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아파트 상품성을 끌어올려 조합원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겠다는 게 현 집행부의 목표다. 가락1차현대 A조합원은 "건축심의 이후 사업시행계획(안) 수립 단계에 있었으나,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으로 인해 집행부가 교체됐다"며 "조합원들 모두 깨끗한 아파트에서 살고 싶은 마음은 동일하기에, 조합 정상화가 하루 속히 이뤄져 사업이 진행됐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가락1차현대의 구역면적은 32,723㎡로, 지하4층-지상22층 8개동 공동주택을 짓는 재건축 사업이다. 용적률과 건폐율은 각각 299%, 25%다. 작년 2월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건축심의(안) 상 주택공급물량은 총 842세대로,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은 각각 717세대, 125세대다. 공급 타입은 ▲전용 44㎡(72세대) ▲전용 59㎡(79세대) ▲전용 84㎡(366세대) ▲전용 110㎡(317세대) ▲전용 168㎡(8세대) 등으로 구성됐다.
올해로 준공 36년째를 맞이한 서초 방배임광3차가 지난해 초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지 1년 4개월 만에 정비계획(안)을 공개했다. 방배로 2길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임광1·2차가 임대주택 비율을 둘러싼 주민 간 이견차로 결국 정비구역 해제 수순을 밟는 가운데, 늦게 사업에 뛰어든 방배임광3차가 재건축을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4일 정비업계 따르면 서초구청은 최근 방배임광3차 토지등소유자들을 상대로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PT 발표는 도시계획업체인 건영씨앤피가 맡았다. 방배임광3차의 구역면적은 12,271㎡로, 이중 공동주택 획지는 12,073㎡다. 도로의 경우 589.8㎡로 총 면적의 4.8%를 차지한다. 토지이용계획(안)을 살펴보면, 방배로2길 일부 도로를 확폭하고 단지 내 남북을 잇는 공공보행통로가 조성될 계획이다. 용적률 체계는 ▲기준용적률(229%) ▲허용용적률(240.5%) ▲상한용적률(240.5%) ▲법적상한용적률(299.55%) 등으로 수립됐다. 서울시 도시주거환경정비법 기본계획에 따라 현황용적률이 기준용적률을 초과하면 현황용적률을 기준용적률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용적률과 상한용적률이 같은 이유는 토지·건축물 기부채납이 없기 때문이다. 방배임광3차는 공공보행통로(6m)와 돌봄센터(무상임대)를 통해 허용용적률 인센티브를 적용받는다. 용적률 인센티브와 관련, 서초구청 관계자는 "지난 3월 서울시에선 용적률 인센티브 범위를 기존 20% 한도에서 최대 40%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며 "다만 이는 사업성이 낮은 사업장의 여건과 분양가를 기준으로 하는 만큼, 대부분 강북권에 해당해 9월 나올 기본계획(안)을 확인해봐야 한다"고 답했다. 예상되는 주택공급물량은 392세대로 임대주택은 46세대로 책정됐다. 주차대수는 599대로 세대 당 1.5대이며, 건폐율은 18.96%로 수립됐다. 평형별 세대수 변경에 대한 질의와 관련, 이준영 건영씨앤피 상무는 "평형별 세대수는 건축심의 과정에서 충분히 조정이 가능하다"며 "상대적으로 낮은 평형대가 많은데, 이는 계획(안)이 현재 아파트 평형을 전제로 추정했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방배임광3차의 감정평가는 삼창감정평가법인이 맡았고, 추정비례율은 95.12%로 책정했다. 이는 종후자산평가총액(권리자 및 일반분양비, 임대주택 매각비, 근린생활시설 분양비)에서 정비사업비(공사비, 보상비, 관리비, 설계비 등)을 빼고 분양 받을 권리자들의 종전자산총액으로 나눈 결과값이다. 평당공사비는 800만원 수준으로 책정됐다. 방배임광3차의 일반분양가는 ▲24평(16억700만원) ▲28평(17억9,200만원) ▲34평(20억3,100만원) 등으로 산정됐고, 조합원 분양가는 ▲24평(15억2,665만원) ▲28평(17억240만원) ▲34평(19억2,945만원)으로 나타났다. 단, 관리처분계획인가 때 개별 종전자산 감정평가 및 분양가격 확정 결과 등에 따라 해당 가격은 변동될 수 있다. 조합원분양가는 일반분양가 대비 95% 수준으로 계산됐다. 임광3차는 방배역과 가깝고 남부순환로와 인접해 있어 교통 편의성이 뛰어나다. 인근엔 우면산 도시자연공원이 있어 '숲세권' 단지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주변에 국립국악원, 예술의전당 등 풍부한 문화시설을 갖추고 있는 것도 장점이다. 주변에 방일초, 신중초, 이수중, 상문고, 서울고, 동덕여고 등도 가까이 위치해 있다.
한국자산신탁이 사업시행자 지위를 갖고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을 추진하는 가운데, 최근 토지등소유자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표현했다. 지난 2017년 9월 사업시행자로 선정된 후 7년이 다 됐지만 아직도 정비계획(안) 수립을 이뤄내지 못한 점을 사과한 것이다. 여의도 시범은 2022년 확정된 신속통합기획(안)을 토대로 정비계획(안) 수립까지 이뤄냈으나, 서울시와 기부채납 건축물 이견차로 지정고시를 받지 못했다. 2일 정비업계 따르면 한국자산신탁은 여의도 시범아파트 토지등소유자에게 공식 사과했다. 한국자산신탁은 2017년 사업시행자로 지정됐지만, 결과적으로 아직 정비계획(안) 지정고시를 받아내지 못했다. 데이케어센터(노인시설) 이슈 영향이다. 현재 데이케어센터를 삭제하는 대신 문화시설을 배치하는 내용의 조치계획(안)을 영등포구청에 제출했다. 서울시로 해당 조치계획(안)이 접수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자산신탁은 사업시행자로서 정비계획(안) 지정 업무가 지연돼 유감스럽다며, 심심한 사과를 표한다고 전했다. 또한, 지난 4월 전체회의에서 정비사업위원회 투표 결과 오류로 혼선을 야기한 점, 토지등소유자들과의 소통이 부족했던 점에 대해서도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한국자산신탁은 과거의 미흡했던 대처들을 반면교사 삼아 앞으로 동일한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방지를 약속했다. 이어, 한국자산신탁은 원활한 인허가청과의 공조를 위해 단지 내 걸려 있는 현수막 철거를 요청했다. 시범아파트 현수막은 언론에서 계속 이슈화 됐던 사안이다. 주민들은 서울시 도시계획심의 과정에서 정비계획(안)에 들어간 기부채납 건축물(데이케어센터)을 반대해 왔다. 데이케어센터는 서울시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치매 및 등급어르신을 위한 노인 요양보호시설이다. 작년 7월 기준, 서울시내 데이케어센터는 모두 198개다. 한국자산신탁은 정비계획 변경(안) 입안 과정에서 서울시와 밀실협약을 했다는 주민들 지적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한국자산신탁은 도계위 심의 전까지 '데이케어센터' 관련 서울시와의 일체 사전협의는 없었다는 설명을 내놓았다. 한국자산신탁은 서울시의 수정가결 지침과 건축물인센티브 계수 변경(0.7→1), 데이케어센터를 포함한 노인시설을 삭제해 조치계획서를 반영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최근 정비사업위원회 등에서 한국자산신탁 신탁계정대에서 빌리는 대여금 이자와 수백억원에 달하는 신탁수수료 감액 관련 논의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신탁수수료는 해당 사업장의 전체 매출액에서 일정 요율로 결정된다. 일례로 분양수입 1조원 규모의 사업장일 때, 수수료율 3%를 적용하면 신탁수수료는 300억원으로 계산된다. 여의도 재건축 단지 내 신탁방식을 택한 곳은 ▲시범(한국자산신탁) ▲광장28(한국자산신탁) ▲한양(KB부동산신탁) ▲공작(KB부동산신탁) ▲삼익(한국토지신탁) ▲은하(하나자산신탁) 등이다.
성동구 금호21구역이 작년 9월 정비구역 지정고시를 받은 직후, 조합직접설립 제도를 택해 재개발 사업에 추진력을 더해 가고 있다. 조합설립인가를 위한 동의율(75%) 달성에 32일이 걸렸다. 한때 여러 개 추진위원회로 나뉜 구역임이 무색할 정도로, 조합원들의 단합심에 성동구청도 놀란 눈치다. 창립총회는 이르면 7월 개최될 예정이다. 성동구청 역시 속도감 있는 행정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진다. 1일 정비업계 따르면 금호21구역 주민협의체(위원장 김권규·부위원장 양갑승)는 지난 달 31일 조합설립인가를 위한 동의율 '75%'에 도달했음을 토지등소유자들에게 안내했다. 동의서를 걷기 시작한 지, 불과 32일 만에 달성한 성과에 고무된 분위기다. 주민협의체는 주민 분들의 단합된 마음이 모였기에 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동의서는 조합설립을 위한 창립총회 전까지 계속 징구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작년 4월 18일 조합직접설립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75% 이상 주민 동의를 받아올 경우 서울시 예산 지원을 약속했다. 예산 대부분은 정비업체 용역비로 사용된다. 공공지원자인 금호21구역이 정비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에서 택한 업체는 '엘림토피아'다. 엘림토피아는 창립총회 의장 권한을 가진 양갑승 부위원장과 함께 조합설립을 위한 창립총회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양갑승 부위원장은 2017년부터 추진준비위원회를 이끌어 왔고, 무보수 상근으로 금호21구역의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에 매진해 왔다. 지난해 조합직접설립제도를 통한 부위원장 선거 과정에서, 토지등소유자들에게 '사업성=속도'라는 재개발 특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주민들의 분담금 최소화를 위한 고민을 이어가겠다는 게 양 부위원장의 발언 취지였다. 한편, 금호21구역은 2010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주민들 간 이견차를 좁히지 못해 2013년 해제됐다. 이후 2018년 사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고, 이듬해 도시·건축혁신 시범사업지로 선정됐다. 최근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결정 고시를 받으며 재개발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주택공급 물량은 총 1,219세대로, ▲전용 40㎡ 이하(99세대) ▲전용 40㎡-60㎡ 이하(502세대) ▲전용 60㎡-80㎡ 이하(494세대) ▲전용 85㎡ 초과(124세대)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임대주택 수는 220세대로, 전체 18% 비중을 차지한다. 정비계획(안) 상 추정비례율은 106.82%로 산출됐다. 총수입 추정액(1조856억원)에서 총지출 추정액(5,748억원)을 뺀 뒤, 종전자산총액 추정액(4,782억원)을 나눈 결과값이다. 비례율 108.62%는 평당 공사비 707만원과 평당 일반분양가 약 4,000만원을 가정해 계산됐다. 조합원 분양가는 ▲39㎡(5.28억원) ▲49㎡(6.6억원) ▲59㎡(7.93억원) ▲84㎡(10.49억원) ▲109㎡(13.04억원)으로 추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