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줌 구글
메뉴

재개발·재건축 현장을 발로 뛰며, 겸허한 자세로 정보를 기록합니다. 속도와 깊이를 중시하는 언론사입니다.

'LH 공공재개발' 성북1구역, 조합원 1,450세대 육박…사업성 확보 관건

공공재개발 후보지인 성북1구역이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본격 절차에 착수했다. 지난 2004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추진위원회까지 설립됐으나, 사업 진척은 이뤄지지 않았다. 갈피를 잡지 못하던 성북1구역은 2021년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되며 새 국면을 맞이했다.

 

6일 정비업계 따르면 성북구청 도시정비신속추진단은 성북1구역(공공재개발)의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주민 공람공고 절차를 이달 16일(월)까지 진행한다. 사업시행예정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가 사전기획을 마무리하면서 정비계획(안) 수립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성북1구역은 신축빌라가 많아 구역면적 대비 토지등소유자가 많다. 전체 예상 세대 수(2,036세대)에서 중·소형평형(60㎡ 이하) 비율을 65%로 설정한 이유다.

 

사업 대상지 면적은 109,639㎡며, 토지이용계획을 살펴보면 공동주택 획지와 정비기반시설 용지가 각각 94,989㎡, 14,650㎡로 나뉜다. 정비기반시설은 도로(8,531㎡)와 공원(6,119㎡)으로 계획이 잡혀 있다. 성북1구역은 제1종일반주거지역과 제2종(7층이하)이 혼재돼 있었으나, 제1종일반주거지역 일부 면적(37,052㎡)을 종상향하는 방향으로 재개발을 진행키로 결정했다. 제1종과 제2종(7층이하) 비율은 각각 22%, 78%다.

 

정비계획(안) 용적률은 200.82% 이하다. 서울시 도시및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따른 소형주택 확보로 기준용적률은 20% 완화 혜택을 받았다. 허용용적률은 통경축과 열린단지 등 인센티브를 적용해 13.7% 완화됐다. 기준용적률과 허용용적률 인센티브는 공동주택 획지 내에서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이하)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건폐율은 29.43%다. 

 

총 예상 건립 세대 수는 2,036세대로, 분양분과 임대주택은 각각 1,628세대, 408세대다. 공공재개발 사업에서 임대주택은 전체 세대 수의 20% 이상을 지어야 한다. 임대주택은 모두 60㎡ 이하로만 지어진다. 올해 7월 주민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토지등소유자(1,450세대) ▲일반분양(178세대) ▲공공임대주택(408세대)로 구성된다.

 

성북1구역과 함께 작년 3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곳은 모두 16곳이다. 함께 후보지 대열에 합류했던 거여새마을(송파구)은 정비구역 지정 후 주민대표기구를 구성했고, 전농9구역(동대문구)은 정비구역 지정고시 후 2주만에 LH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며 속도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농9구역은 주민대표회의 구성도 발빠르게 완료하고, 현재 LH공사와 약정 체결도 앞두고 있다.  

 

공공재개발은 한국토지주택공사 혹은 서울주택도시공사가 공공사업자로 장기간 재개발이 정체된 곳에 용적률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사업이다. 2021년 4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공공정비사업이 신설되면서 본격화됐다. 핵심 내용으로는 ▲용도지역 상향 또는 용적률 상향(법적 상한 용적률의 120% 허용)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전체 사업이 50% 이내 저금리 융자(3%대) ▲전체 세대 수는 조합원 분양 50%·일반분양 25%·공공임대주택 20%·공공지원민간임대 5% 등이다.

 


[하우징워치 뉴스 앱] - 한번의 터치로 정비사업 뉴스를

  • ① 아이폰(애플스토어)과 안드로이드폰(구글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한다.
  • ② 검색창에 하우징워치를 입력한다.
  • ③ 다운로드 후 이용한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한번의 터치로 하우징워치 뉴스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3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